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강직한꿩279
강직한꿩279

주식, 코인 왜 장투하려고 해도 단타 욕심이 생길까요?

주식이나 코인 장투하려고 마음 먹었는데요.

앱 열어서 +된거 보면 자꾸 팔고 싶어지더라구요.

왜 장투하려고 하는데 자꾸만 단타 욕심이 생기는 걸까요?

너무 궁금해요...

꼭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 코인은 장투를 하기 어려운 이유는 이익 실현에 대한 욕심과 손실에 대한 두려움 때문입니다. +로 수익이 나고 있으면 매도를 해서 수익을 얼른 느껴보고 싶은 욕심이 들어서 매도를 하고 싶어집니다. 반대로 -로 손실을 보고 있으면 더 떨어질까봐 불안해서 매도를 하게 됩니다. 수익중일때 수익이 줄어들까봐 매도를 할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사람이 장투를 다짐해도 단타 욕심이 생기는 건 뇌가 즉각적 보상에 더 민감하기 때문입니다. 수익이 조금이라도 보이면 ‘지금 팔아야 이익 확정이라는 불안과 쾌감이 동시에 작동하고, 손실이 나면 ‘조금만 더 버티면 회복될 것이라는 심리가 붙어 매매가 흔들리게 됩니다. 특히 주식코인 앱은 실시간 가격 변동을 계속 보여주기 때문에 자극이 강하고, 도박과 비슷한 중독적 패턴이 생기기도 합니다. 결국 장투는 종목을 믿고 시간을 두는 훈련이 필요한데, 계좌를 자주 안 보는 습관을 들이는 게 가장 효과적입니다.

    1명 평가
  • 일단 투자하고 있는 종목에 대한 믿음이 없고 과거에 버텼더니 다시 떨어지더라 같은 경험이 많이 있을수록 더 그렇습니다.

    개인이 상승장에서 끝까지 버텨서 수익을 취하기는 굉장히 어려운 일이긴 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인이나 주식 같은 위험자산에 투자한 개인 투자가의 경우 소위 '단타' 투자를 많이 하는데 이유는 간단합니다.

    변동성과 폭등의 사례가 있기 때문입니다. 2~3년 이상 장기 투자 보다는 단기 매매의 유혹이 크긴 합니다.

    질문자님처럼 분할 매수, 분할 매도가 투자금을 지키고 수익금을 극대화하며 나아가서 복리 효과를 누릴 수 있는데 대부분의 개인투자가들은 오랫동안 기다리지 못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원래 수익난걸 자꾸 보게되면 팔고 싶어하는 욕구가 생기는게 정상이며 변동성이 워낙 크다보니 다시 떨어질꺼라는 불안감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예 시세를 보지 못하도록 접근을 차단하는게 가장 좋다고 하는것입니다. 변동성이 큰 자산은 자꾸 쳐다보게 되면 하락 변동성이나 그리고 중간중간 가격조정이 오게되면 심리적으로 흔들리게 되는건 정상이기 때문입니다. 즉 이경우 이성보다는 감성에 휘둘리기 마련이며 손실회피경향이 특히 사람은 매우 심하기 때문에 쉽게 장투를 못하고 덜컥 매도하고 손실을 확정하려는 경향이 생기는것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장투한다 다짐해도 화면에 초록불 들어오면 괜히 손가락이 근질근질하죠. 이익이 눈앞에 있으면 당장 지키고 싶은 본능이 생기니까요. 반대로 빨간불이면 손절 못 하고 버티게 되고요. 심리학에서도 단기 보상이 장기 보상보다 훨씬 강하게 작동한다고 하더군요. 그래서 장투한다고 해도 앱을 자주 열면 단타 욕심이 튀어나올 수밖에 없습니다. 차라리 안 보는 게 낫습니다. 실제로 장투 잘하는 사람들은 아예 알림 꺼두고 몇 달에 한 번만 확인한다고 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전영균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득을 단기간에 보고자 하는 사람의 욕심 때문입니다.

    사실 금융시장은 돈을 벌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아이러니하게도 시장 참여를 적게 하는 사람이 돈을 더 많이 벌어요.

    그러나 주변이나 인터넷에서 코인으로 돈 번 얘기나 사례가 많이 나와서 나도 열심히 하고 단타를 많이 하면 돈을 벌 수 있겠지 하는 기대감 때문에 단타를 많이 하시는 것 같아요.

    그러나 엄청난 실력자가 아니라면 단타가 아닌 장투로 가져가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사람들은 불확실한 미래의 큰 이익보다 현재의 확실한 작은 이익을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를 '확정 편향'이라고 부릅니다. 이익을 봤을 때 그것을 확정하지 않으면 혹시라도 다시 하락해 손실로 바뀔지 모른다는 불안감에 휩싸입니다. 즉, 미래에 있을지 없을지 모르는 더 큰 수익보다, 지금 눈앞에 있는 수익을 잃을지도 모른다는 고통을 피하려는 심리가 강하게 작용하는 것입니다. 심리학자들은 이를 '처분 효과'라고도 설명합니다. 투자자들이 손실을 본 주식은 계속 보유하고, 이익을 본 주식은 너무 빨리 팔아버리는 현상을 말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이나 코인 투자에서 장기 투자를 결심했음에도 불구하고 단기 투자에 대한 욕심이 생기는 것은 인간의 본능적인 심리와 시장의 특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먼저, 사람들은 눈앞의 이익이나 빠른 결과에 쉽게 유혹되는 즉각적인 만족 심리를 가지고 있어요. 시장이 급등락하는 모습을 보거나 주변에서 단기간에 큰 수익을 얻었다는 소식을 접하면, 나도 빠르게 수익을 내고 싶다는 포모가 생기는 것이죠.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주식이나 코인 투자시 장투보다 단투에 욕구가 생기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바로 단기 투자 혹은 단타는 바로 바로 수익이 실현되기 때문에

    그런 마음이 끊임 없이 투자자들을 유혹하게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