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와일드한박쥐78
와일드한박쥐7823.08.19

우리나라 아파트 수명은 왜 이렇게 짧은 가요?

우리나라 아파트는 30~50년 정도만 지나면 재건축 이야기를 하는데 아파트 수명이 100년 정도 되게 건축할수는 없나요?

건축 할 수 있는데 안한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주영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해외는 계속 건물을 보수하면서 그 보수비용이 어마어마합니다.

    사실 보수비용하느니 새로 짓는게 싸게 먹히는데 말이죠.

    이것은 그나라의 문화를 담습니다.

    우리나라 가전만 하더라도 고쳐서 쓰기보다 새로 쓰는 것처럼

    아파트도 더 투자 하기보단 새로 짓는 방향으로 결정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염정흠 과학전문가입니다.

    수명이 오래되면 공간구성이 요즘 생활방식에 안 맞을 수도 있고, 구조설계가 현행 기준과 너무 많이 차이가 있어서 리모델링이 점점 까다로워 지는 것 등 이유는 다양합니다. 제 개인적인 견해로는 자본주의의 안 좋은 모습입니다. 아파트를 비롯해서 대형건축물은 주기적으로 안전점검을 받아야 하는데 그때 문제가 발견되어서 보수를 해야 할 상황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런데 너무 심각하여 안전에 위협이 될 수준이라면 재건축을 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 경우가 아니라면 리모델링을 통해서 기존 건축물을 살리는 방안이 자원 낭비도 줄이고 가로경관도 살릴 수 있을 겁니다. 하지만 그렇게 하는 경우가 적죠. 보이지 않는 곳에서 로비를 통해서라도 재건축을 할 수 있게 만드는 경우도 있습니다. 논란이 될 수도 있는 얘기이지만 일각에서 실제 있는 일입니다. 현행 구조설계 기준대로라면 100년 이상 버틸 수 있는 구조기준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그것을 보면 100년을 버틸 수 있는 건축물 불가능한 것은 아니라고 설정된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좋은 취지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이 부분에 대해서 불만을 표하는 의견을 들어보면 오랜 시간이 지나면 유행에도 많이 뒤쳐진다, 노후되어서 외관상 보기 안 좋을 것이다, 소유자가 바뀌면 현재 모양이 마음에 안 들어서 철거 후 신축할 수도 있다 등등 약간의 억지스러운 내용도 있습니다. (제가 건축사사무소를 하면서 구조기준이 너무 강하다고 하여 현행 기준에 대해 설명했더니 들었던 말들입니다.)그리고 철거 후 다시 건축하는게 자금도 잘 돈다는 얘기도 들어봤는데, 리모델링을 통해서도 자금이 돌 수 밖에 없습니다. 철거 후 신축보다는 적은 금액이겠지만 어쨋든 행위를 하기 위해서는 대가를 지불해야 하고, 공사를 위한 인력동원으로 적어도 그 기간만큼은 일자리가 생겨납니다. 설계를 잘한다면 유행에도 맞출 수 있습니다. 이것은 시장에서 하기 나름입니다. 일부 부실공사나 투기 목적에 의해서 수명이 단축되기는 하지만 제대로 하면 100년 이상 버틸 수 있는 아파트도 건축 가능합니다. 자본주의 시장 논리에 의해서 재건축 시기가 앞 당겨지고 건축물의 수명이 줄어든다고 생각합니다.

    추가로 말씀드리자면 당시 내진설계기준도 없었고, 구조계산도 하지 않고 경험치로 구조설계 해서 지어진 건축물들 중에 50년 이상 된 것들도 튼튼하게 버티고 있는 것들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한국 아파트의 평균 수명은 30~40년 정도로 추정되는데, 다양한 이유에 원인을 찾고 있습니다.

    우산 한국은 시장 논리에 의해 건물을 일찍 부수고 다시 짓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급격한 경제 발전과도 연관이 있지만 경기 부양을 위해 건설업을 활용한 것도 이유입니다. 건설업은 임시 및 일용직 고용 비중이 높아 저소득층의 수익을 높이는 등 경기부양 효과가 가장 큰 사업으로 꼽힙니다.

    또한 재건축 승인을 위해 유지보수를 꺼리는 경향도 있습니다. 재건축 연한인 30년이 지났더라도 건물에 이상이 없다면 재건축 허가가 나지 않기 때문에 재건축 허가를 받기 위해서는 안전진단 100점 중 55점 이하의 점수 (D, E)를 받아야 합니다.

    그리고 본질적인 내구성에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지난 2006년 주택산업연구원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국내 아파트의 콘크리트 강도는 210~270kg/cm^2 수준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는데, 콘크리트 강도는 아파트의 수명을 좌우하는데, 아파트 수명이 긴 미국 아파트의 콘크리트 강도가 400~500kg/cm^2를 유지하며, 동남아도 kg/cm^2에 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고층 아파트가 많이 건설되어 있습니다. 고층 아파트는 건물 구조와 시공 방식이 복잡하고, 건물에 가해지는 부하가 크기 때문에 수명이 상대적으로 짧을 수 있으며 아파트 붐이 일었을때 오래가는 아파트보다는 당장 많이 짓고 보자는 식으로 부실하게 지은것이 원인이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