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공정한홍학49
공정한홍학4923.07.29

묵시적 갱신 이후 원룸 퇴실 절차 및 순서 궁금합니다.

원룸 1년 계약 후 몇년 더 살다가 얼마전 퇴실하겠다고 했습니다.

퇴실 한다고 통보하면 3개월 후에는 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5월 10일에 집주인에게 말했으면 8월 10일에 집주인에게 계좌번호 알려줘서 당일에 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거죠?

그리고 전기, 가스 등은 어느 시점에 연락해서 전출 처리를 해야 하나요?

8월달 월세를 조만간 내야 하는데 일단 8월 한달치를 다 내는게 맞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무조건적으로 질문처럼 되는것은 아닙니다, 우선 현 계약이 묵시적 갱신으로 연장되었다거나, 갱신청구권을 사용한 계약이였다면 중도해지를 원할경우 질문처럼 해당하게 되지만, 일반적은 협의 재계약을 진행한 경우라면 만기일까지 보증금 반환은 어렵고 계약관계도 그대로 유지해야할 의무가 있습니다. 그리고 중도해지를 원할경우 임대인의 동의가 필수이기 때문에 동의를 얻어야 합니다.

    만약 위처럼 묵시적갱신,갱신청구권을 사용한 계약이였다면 3개월 후 계약종료가 되고, 3개월까지는 계약이 유지되므로 해당기간 월세,관리비는 지급하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강애 공인중개사입니다.

    묵시적갱신이 되면 퇴거 3개월 전에는 임대인에게 통지해야 합니다.

    전기,가스 ,수도요금등은 이사하는날 사용분까지 사용량 확인하고 콜센터서 요금 정산 및 가상입금계좌까지 안내해 줍니다. 새로운 주택으로 입주하고 전입신고하면 자동으로 전출처리가 됩니다. 월세는 통상 날짜계산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행정사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

    5월 10일에 집주인에게 말했으면 8월 10일에 집주인에게 계좌번호 알려줘서 당일에 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거죠?

    ==> 네 법적으로 가능합니다.

    그리고 전기, 가스 등은 어느 시점에 연락해서 전출 처리를 해야 하나요?

    ==> 이사를 가는 시점에서 정리해야 합니다.

    8월달 월세를 조만간 내야 하는데 일단 8월 한달치를 다 내는게 맞나요?

    ==> 네 계약기간까지 거주를 해야 하고, 월세가 후불인 경우 마지막 달 월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1년계약은 묵시적갱신이 아니라 그냥 갱신 입니다.

    2년계약일때 묵시적갱신이 적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