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세금·세무

종합소득세

편안한영앙129
편안한영앙129

지방소득세의 산정기준이 궁금합니다

월급에 보면 매번 지방소득세로 돈이 빠져나가는데 지방소득세가 무엇이며, 세금을 매길때의 산정기준이 궁금합니다. 상세하게 설명해주시면 감사해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성진 세무사입니다.

      지방소득세는 지방자치단체로 납부하는 세금으로서 급여 지급 시 간이세액표에 따라 계산된 소득세의 10%를 원천징수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자성세무회계 김성은 세무사입니다.

      소득세는 국세로 국가에 내는 세금이며, 지방소득세는 지방세로 지방자치단체에 내는 세금입니다.

      소득세와 지방소득세는 과세대상이 다르지 않으며, 일반적으로는 소득세의 10%가 지방소득세액이 됩니다.(세액공제가 있는 법인세의 경우 등은 퍼센테이지는 다를 수 있음)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광교세무법인 삼성지점 이용연 세무사입니다.

      개인인 근로자가 근무하는 회사에서 수령하는 매월분 급여, 각종 수당, 상여금 등은

      회사에서 지급하는 시점에 4대보험법 및 소득세법, 지방세법에 따라 4대보험료,

      근로소득세, 지방소득세를 원천징수하여다음달 10일까지 사업장 관할 4대보험기관,

      관할세무서, 지방자치단체에 신고납부를 하는 것입니다.

      이 경우 지방소득세는 지방세법상 근로소득이 있는 근로자가 회사에서 급여 등을

      지급받는 경우 원천징수하는 근로소득세의 10%를 지방세법상 원천징수를 하게

      규정되어 있음으로 회사는 원천징수하는 근로소득세의 10%에 해당하는 세액을

      근로ㅗ득세분 지바오득세로 원천징수를 하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된 경우 "좋아요 + 추천"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문용현 세무사입니다.

      근로소득세의 10%가 지방소득세 특별징수분으로 추가로 과세가 됩니다. 급여명세서를 보시면 근로소득세의 10%가 지방세 항목으로 별도로 부과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