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
퇴직금 계산시 어떤 방법이 더 퇴직금이 높을까요?
입사 2016.12.01
일일임금 170,000원
발생한 시간외수당 260,000원
1안) 2025.12.26일 퇴사를 하여 발생한 시간외
수당을 포함하여 퇴사
2안) 2025.12.31일 퇴사를 하여 주말 2일과 평일 2일을 더 근무하여 퇴사
퇴직금만 봤을 때 어떤 방법의 퇴직금이 더 높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범철 노무사입니다.
1안) 시간외 근로수당 26만원이 포함될 경우, 3개월을 90일로 치환해보면 1일분은 2,888원으로 산정됩니다. 따라서 평균임금 30일치는 172,889원 × 30 = 5,516,667원으로 계산되고 계속근로연수는 9.074년으로 계산되므로 이경우 퇴직금은 47,063,000원 정도로 산정됩니다.
2안) 2025. 12. 31. 퇴사하면, 근로일수가 5일 늘어나 계속근로 연수는 약 9.094년이고, 30일치 평균임금은 5,100,00원으로 계산할 수 있으므로, 퇴직금은 46,347,000원 정도로 산정됩니다.
즉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면 1안이 조금 더 유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퇴직금은 재직일수만큼 산정하여 지급하므로 임금조건이 동일하다면 12월 31일까지 근무하고 퇴사하는게
금액적으로 조금 유리할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