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자신을 때리는 모습이 보여요.
안녕하세요. 아이가 해야 할 일에 대해 이야기를 하면 하기 싫다는 표현의 일환으로 자신의 손을 내리치거나 머리를 치는 행동이 보이는데 왜 그런 행동을 하는 걸까요? 이럴 때는 어떻게 훈육을 해주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자신을 때리는 행위는 허용되지 않은 행동으로 그 행동에
대한 잘못된 점을 아이 눈높이로 설명해주면서 정확히 훈육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훈육은 짧고 단호하게 하시되 훈육 후에는 훈육한 이유에 대하여 따뜻하게 설명하신
후 안아주시는 것을 권합니다. 참고하세요.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스스로를 아이가 자꾸 때리는 이유는 감정 표현 이 서투르고 상대가 자신의 마음을 알아주지 못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이 상황을 절대 그냥 넘어가시거나 받아주시면 안됩니다. 다만 상황에 대처하실 때, 감정적으로 아이를 먼저 공감해주시고 다독여주시는 게 우선이 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나서 아이와 대화를 나눠보신 다음에 아이의 감정 표현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아이에게 인지시켜 주시고 앞으로 감정을 표현할때의 올바른 대체행동을 알려주시면 됩니다. 화내시거나 윽박지르시면 안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의도적으로 일부러 때리는 경우면 무시를 해주세요.
처음에 아이가 자기 머리를 때리면 부모는 놀라기 때문에 관심을 갖았을 텐데요, 아이는 이상황을 '내가 머리를 때리면 나한테 관심을 갖는구나' 라고 생각합니다. 아이가 관심을 받기 위해 때리는 경우 이기 때문에 무시를 해주세요.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몇살인지 모르겠으나
자신의 감정표현 등을 말로 하지 못하기 때문에
자신의 머리를 치는 등의 행동을 하는 것으로 보이니
하지 못하게 하시길 바랍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혼을 내면 자신의 몸을 때리는 행동을 하나봅니다
걱정이 많으시겠습니다
저도 걱정이 됩니다. 점점 심해지면 자해하는 행동으로 나타날수 있습니다
이런 행동은 자신의 행동을 누군가가 잘못된 것이라고 지적하거나 혼낼때 나타나는 분노의 표출인 것으로 보입니다. 부모라서 소리지르고 덤비지 못하는 상황에 대한 억울함의 표현이기도 한것 같습니다
자녀분의 이런 행동이 더 심해지기전에 다른 방법으로 소통하실 것을 부탁드립니다
예로 엄마 또는 아빠랑 아이스크림 먹으러 슈퍼갈까라고 함께 걸으면서 오늘 서로의 반성하는 시간을 갖는다거나 하는 대화시도입니다
자녀의 행동만을 지적하지 마시고 부모님의 오늘 일과 중 반성을 먼저 이야기하면서 자녀의 행동도 끌어내는 것입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자녀에 대한 믿음과 존중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 뜻데로 되지 않을 때 화가 나고 흥분할 때 자기 머리를 때리거나 벽에 머리를 찧는 자해하는 아이들이 간혹 있답니다..
우리 아이가 말을 하기 시작하면 감정을 전달할 수 있는 표현을 할 수 있으니 자해 행동은 없어질 것입니다.
이럴 땐 아이의 행동에 크게 동요하지 않는 모습으로 대처해줘야합니다.
부모의 반응을 보고 아이는 자신의 자해 행동을 더 크게 확장시킬 수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이정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통 생후 24개월이 되면, 아이는 두 단어로 구어를 표현할 수있게 되고 그 이상으로 상황을 인지하며 언어를 이해할 수 있게 돼요. 또한 생애 초기보다 다양한 감정의 스펙트럼을 경험하고 표현할 수 있게 돼요. 그런 맥락에서 자신의 몸을 때리는 행동 역시 일종의 감정표현이라고 할수 있어요. 우선 어떤 표현인지 알아내주셔 합니다. 그리고 사회/인지적으로 이러한 감정의 분출이 부적절하다는 점에서 문제가 되는데요. 물론 아이가 자신의 몸을때리는 이유에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있겠지만, 보통 자신의 감정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할 때, 혹은 부모님의 관심을 원할 때, 내지는 요구의 표현일 수도 있어요.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우리 아이가 무언가 ‘표현’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