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보험

의료 보험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암이 판정되었으나 원발부위를 찾지 못할경우 보험해택 받는게 가능한가요?

암판정이 됬지만 원발부위를 못찾았어요.아무리 찾아도 안나와요. 암치료는 급한데요.

이럴경우 메리츠와 신한라이프 두경우 보험해택을 받는게 가능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명희 보험전문가입니다.

    C80 원발부위미상 또는 원발부위 상세불명의 악성신생물 입니다.

    원발부위를 찾지 못하는 경우는

    암세포 즉, 종양이 발견된 부위 기준의 암진단금으로 보상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조 보험전문가입니다.

    원발부위가 확인되지 못하는 암에 대한 질병분류기호는

    C80(부위의 명시가 없는 악성 신생물),

    C80.0(원발부위 미상으로 언급된 악성 신생물),

    C80.9(원발부위 상세불명인 악성 신생물)입니다.

    약관상 일반암(C00 ~ C97)에 속하는 분류라고 볼 수 있는데,

    보험마다 약간씩 다를 수 있지만 일부 보험사에서는 보험 약관에 기재되어 있는

    <C77~C80(불명확한, 이차성 및 상세불명 부위의 악성신생물(암))의 경우 일차성 악성신생물(암)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원발부위(최초 발생한 부위)를 기준으로 분류합니다.> 라는 내용을 가지고 '일반암'이 아닌 '유사암(소액암)'의 보험금을 지급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그러니, 만약 질문자님이 생각하시는 것 보다 훨씬적은 보험금이 산정된다면 손해사정사분에게 상담을 받고, 이의제기를 해보는 것도 생각해보시는게 좋습니다.

    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추가적인 상담이 필요하시다면 제 프로필에 방문하셔서 상담예약을 하시거나 연락을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

  • 안녕하세요. 유선우 보험전문가입니다.

    그럼 전이암이신가요? 현재 암 진단받은 명과 코드가 어떻게 되는지 알려주세요

    보험 증권도 같이 부탁드립니다.

    증권과 코드가 있다면 보상에 대해 알려드릴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복 보험전문가입니다. 암진단금의 경우 원발부위를 찾아야 정확한 진단금이 나올 수 있습니다. 암진단금은 고액암, 일반암, 소액암 및 유사암에 따라 진단금을 달리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암수술 및 항암치료, 암입원 및 통원 특약은 이미 암으로 진단 받으셨기 때문에 원발부위가 불명확하더라도 지급이 확정될 수 있습니다. 게다가 혹시 실손보험을 가지고 계시다면,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암치료를 시작하시길 바랍니다. 보험금 때문에 암치료를 미루는 건 결코 적절한 판단이 아닙니다.

    암치료 잘 받으셔서 빠른 시간 내에 완치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동우 보험전문가입니다.

    혹시 의사가 진단을 못 내린건가요?

    암진단을 위해선 생검을 하셨을텐데 그래도 원발부위를
    못 찾는다면 병원을 옮기셔야 할 듯 싶습니다.

    보험사는 원발이든 재발이든 그것도 중요하지만

    질병코드로 보장을 해주기 때문에 진단이 없으면

    보장도 안되거든요.

    잘 판단하시고 진행하시길 바랍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래요~

  • 안녕하세요. 전유솜 보험전문가입니다.

    암으로 진단받으셔서 암질병코드가 나오셨고, 그에맞는 코드를 보장하는 보험이 있으시다면 보장받으실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장옥춘 손해사정사입니다.


    암보험에서 원발규정은 가입상품에 따라 차이가 있어 가입상품에 따라 검토를 해야할수 있습니다.

    의무기록과 보험증권으로 보상전문가인 손해사정사와. 상담을 귄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미애 보험전문가입니다.

    치료가 먼저이고 치료하면서 서류청구하면 되요. 병원을 옮기거나 적극적인 치료에 힘을 써야 할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이영찬 손해사정사입니다.

    병리학적 조직 검사 결과지에서 종양의 종류가 무엇인지 어떠한 상태인지 등의 확인이 필요하며 가입한 보험의 증권도 확인을

    해 보아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