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세 여아의 애착 인형, 이불 등 애착 물건 다루기에 대해서
애착 인형과 같은 특정 물건에 대해서 집착을 하는데, 이 아이의 심리를 이해하고 싶고, 애착 물건을 활용해 안정감을 주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그리고 끊어하는지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이세리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3세 여아가 애착 인형이나 이불 등 특정 물건에 집착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성장 과정의 일부입니다. 이 시기의 아이는 부모와 떨어져 있을 때 불안감을 느끼기 쉬운데 애착 물건은 아이에게 심리적 안정감과 위로를 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물건을 통해 아이는 혼자서도 안심할 수 있는 힘을 기르고 감정 조절 능력도 키워나갑니다.
애착 물건을 활용할 때는 아이가 필요로 할 때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고 외출이나 잠자리 등 불안할 수 있는 상황에서 함께할 수 있게 도와주는 것이 좋습니다. 억지로 애착 물건을 떼어내려고 하기보다는 아이가 점차 성장하면서 자연스럽게 관심이 줄어들 때까지 기다려주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만약 애착 물건에 대한 집착이 지나치게 강해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거나 불안 증상이 심하다면 전문가의 상담을 받아보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애착인형에 집착을 하는 이유는
불안함이 높아서 입니다.
그렇기에 부모님은 아이의 기분과 컨디션을 잘 케치하여 아이의 마음을 먼저 헤아려 보는 것이 필요로 하구요.
또한. 심리적+ 정신적인 불안함이 크다면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돌봐주는 것이 좋습니다.
무엇보다 아이의 스트레스와 하루 중 안 좋은 경험이 있어도 불안함의 지수는 높아지기 때문에 이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서 그 문제점의 뿌리를 제거하는 것이 필요로 합니다.
아이가 애착인형의 대한 부분의 집착이 덜 하게 하기 위해서는 부모님의 안정된 애착형성이 그 무엇보다 중요 하겠구요.
현재 아이에게 애착인형은 필요로 합니다. 그 이유는 지금 시기에는 애착인형이 자신의 분신과 같기에
안정감을 가질 수 있는 충분한 요소이기 때문 입니다.
아이가 학교에 들어가기 전에는 애착인형과 스스로 헤어질 수 있도록 마음의 준비 시간을 충분히 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
애착물건을 활용해서 안정감을 주려면, 이 물건이 아이에게 특별한 의미가 있음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아이가 애착 물건을 가까이 두고 있을 때는 안심할 수 있도록 허용하되, 동시에 아이가 점차 자기자신과 주변환경에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부모가 따듯하게 지지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디ㅏ
예를 들어서, 새로운 환경에 적응할 떄나 잠들기 전처럼 아이가 불안해하는 순간에 애착 물건을 함께 두어 아이가 안정감을 느끼게 도울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3세 여아의 애착 물건은 정서적 안정과 자기 위로 수단입니다. 불안할 때 마음을 달래는 역할을 하며, 심리적으로 건강한 발달 과정입니다. 애착 인형에게 '오늘도 ++이를 잘 지켜줘'라며 함꼐 활용해주면 아이는 더욱 안정감을 느낍니다. 억지로 끊기보다 점차 사용시간을 줄이거나, '이젠 인형도 쉬고 싶대'처럼 자연스럽게 거리 두도록 유도하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3살 아이가 애착 물건에 집착하는 것은 정서적 안정과 일상의 예측 가능성을 얻기 위한 자연스러운 발달 과정으로 볼 수 있습니다. 애착 인형이나 이불을 잠자리, 낯선 외출 등 불안한 상황에서 함께하게 하면 큰 위로가 될 수 있습니다. 역할을 부여하면 자기 위로 능력을 키울 수도 있어요. 애착 물건을 억지로, 무리하게 떼려고 하지는 않는 게 좋습니다. 다른 흥미로운 활동으로 천천히 관심을 분산시켜 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들은 애착물건을 통해서 정서적인 안정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낯선 환경이나 잠자리등 불안한 환경에서는 애착 물건을 사용하면 특히 좋습니다.
아이의 불안한 감정은 이해하고 인정해 주세요
그리고 애착 물건을 이용하여 감정 놀이를 해주는 것도 좋습니다.
애착 물건을 억지로 끊을 필요는 없구요. 시간이 지나서 자연스럽게 줄어들도록 기다리는 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