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에서 손절을 꼭 해야하나요?
손절하지 않고 일명 물타기라고 평단을 낮추어서 보유하는 전략이 좋을 수는 없나요? 손절기준은 어떻게 잡는 것이 좋은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투자에서 손절은 리스크 관리를 위해 중요한 전략이지만, 물타기 전략이 유효할 수도 있으나, 손실이 커지기 전에 정해진 기준을 설정하고 대응하는 것이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손절 기준은 개인의 투자 성향과 리스크 수용 범위에 맞춰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물타기도 좋은 투자 방법 중에 하나입니다.
큰 주식 위주로 투자를 한다면 물타기로 90% 이상은 다시 내 평단에 맞춰져 탈출할수도 있을것입니다.
하지만 가끔 걸리는 한방에 나락을 가는게 물타기입니다.
물을 타다 보면 내 투자 자산에서 한종목이 차지하는 비중이 굉장히 커집니다.
대부분은 기술적반등이든 찐반등이든 회복을 해주지만 그렇지 못한 종목 한종목에 걸리면 이전 아홉번의 승리를 한번의 패배로 날리는게 물타기라 내 투자 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 조절을 잘 해서 들어가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손절 또한 투자 시 하나의 방식이기 때문에 지지선을 뚫고 내려갔을 경우에는 손절하여 손실 폭을 최대한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적으로 손절을 꼭 해야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하고, 말씀하신 물타기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생각합니다. 다만 물타기를 할 경우 주식 수량이 늘어나고 자연스래 투자금이 늘어나기 때문에 하락장을 꾸준히 맞으면 더 큰 손실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이에 충분한 현금과 앞으로 해당 기업이 잘될 것이라는 어느정도의 확싱이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단타를 하려 했거나, 기업이 장기투자에 적합한 곳은 아니라 생각하신다면 적절한 손절라인(본인이 감당할 수 있는)을 정하시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손절이라는것은 무조건 할필요는 없습니다
그러나 손절을 매매관점으로 한다면 필연적으로 있는게 좋습니다 이경우는 기업보다는 기술적인 매매 관점에서 하는 투자이며 이런 퀀트나 기술적 투자는 확률방식이기 때문에 반대방향일경우 대응하기 위한 손절이 필연적입니다
손절기준은 누구나다르며 1프로만 먹는 스캘핑이라면 1프로를 손절로 잡으며 30프로이상의 중기매매나 10프로형태의 스윙이라고 손절도 이기준라인에 맞춰잡는게 일반적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투자에서 꼭 이라는 말은 없습니다 저도 삼성전자는 장기투자로 하고 있어서 손절 없이 얼마전에 추가 매입만 조금 했습니다 하지만 잡주나 코스닥 주는 아니다 싶으면 손절을 합니다
손절기준은 투자자마다 틀립니다 단타 초단타 위주로 하는 분들은 5프로 이내로 손절을 하고 스윙투자자들은 10-15프로 마이너스 나면 손절하는 분들이 많고 장기투자자들은 손절없이 그냥 주구장창 사시는 분들만 있기도 하거든요
결론은 결국 투자자 본인 판단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주식 투자에서 손절을 꼭 해야 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물타기도 가능은 하지만 그 만큼 오래 기다려야 하고
오래 기다린다고 다시 수익을 본다는 것도 없기에
손절이 더 좋을 때도 있습니다.
손절기준을 공식적으로 잡아놓고 기계적으로 손절을 하는 것보다는 회사의 미래전망과 재무실적 등을 근거로 앞으로 반등할 여지가 보이지 않는다면 손절하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정보력이 부족한 개인투자자 입장에서 기업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상당히 어렵기 때문에 애초에 수수료가 저렴한 지수추종 etf만 분할적립식으로 매수해 장기간 투자하는 방법이 가장 좋은 투자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어떤 기업이냐, 증시가 어떻냐 등에 따라 투자 전략이 달라질 듯 합니다.
손절 기준은 투자자 성향마다 달라질 수 있으나, 일괄매도보다는 -5%, -10% 등의 기준을 세워 부분 매도를 진행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다만, 회사의 성장세가 기대되나 전반적인 증시 약세로 인한 하락이라면 물타기도 하나의 투자 전략이 될 수 있을 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철 경제전문가입니다.
물타기는 평단가를 낮출 수 있지만, 추가 손실 위험도 큽니다. 따라서 절대적이지 않지만 손절 기준은 투자 금액 대비 손실을 감당할 수 있는 수준으로 설정하셔야 하며. 냉정한 판단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투자는 손절과 익절 타이밍을 기계적으로 잡아놓는 것이 좋은데요.
플러스 마이너스 15% 또는 20%로 잡으시면 괜찮습니다.
안녕하세요. 시호정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저는 수익을 보는것 보다 중요한게 리스크 관리라고 생각 합니다.
하락할때에는 손절을 빠르게 하는 것과 물타기를 하는 것을 선택할수 있습니다.
기본적인 손절 기준을 잡는것이 중요한데, 저의 경우는 10% 하락을 손절 구간으로 잡고 있습니다.
그러나 제가 투자한 종목에 대해서 확신이 있고 저평가 되었다 라고 생각 한다면 20% 하락마다 분할 매수를
하고 있습니다.
투자는 수익 보다 리스크를 관리하는게 더욱 중요하니 도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