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가지런한오소니23
가지런한오소니23
23.07.09

금리 인상 여부 결정시 참고하는 지표는 무엇이 있나요?

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할 때, 중앙 은행에서 참고하는 지표로는 무엇이 있나요!

물가상승률이 둔화되어도 올리는 경우가 많던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이대길 경제전문가blue-check
    이대길 경제전문가
    메리츠화재
    23.07.09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물가 동향, 국내외 경제 상황, 금융시장 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연 8회 기준금리를 결정하고 있다. 이렇게 결정된 기준금리는 초단기금리인 콜금리에 즉시 영향을 미치고, 장단기 시장금리, 예금 및 대출 금리 등의 변동으로 이어져 궁극적으로는 실물경제 활동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한국은행-

    국내 물가보다 중요한게 미국 금리이기 때문에 방어적인 태도를 취합니다

    수출의존도가 거의 세계2위급이라서 그렇죠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지수와 실업률을 주로 봅니다. 소비자 물가상승률이 둔화되어도 기대인플레이션이 높을수도 있으며 근원소비자물가가 높을수도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07.09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소비자물가지수로 소비재 및 서비스 시장에 대해 도시 소비자가 지불하는 가격의 시간 경과에 따른 평균 변화를 측정 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 결정할때 그래도 가장 크게 고려하는 것은 2가지입니다 물가와 성장율 !! 이 2가지가 중앙은행이 금리결정시에 고려하는 가장큰 경제지표 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중앙은행은 물가 상승률을 주요 지표), 경제 성장률(중앙은행은 경제 성장률), 고용지표(중앙은행은 고용 상황을 주시, 실업률) 등의 지표을 통해 금리인상을 결정합니다.

    물가상승률이 둔화된다 하더라고 연준(중앙은행)이 원하는 수준의 물가상승 수준(2% 대)에 들어와야 금리 인상(또는 금리 유지)을 멈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인상을 할 때에는 물가지수 등을

    고려합니다.

    그리고 물가상승률이 둔화된다고 하더라도

    향후 금리가 올라가거나 아니면 경기가 과열될

    가능성이 있을 경우에는 올리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인상을 결정하는 경제지표는 가장 대표적인 지표가 바로 물가상승률이며, 이와함께 고용률, 실업률, 경제성장률 역시 주요 참고 지표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할 때 중요한 지표로는 경제 성장률, 인플레이션 수준, 고용 상황, 소비자 신뢰도, 금융시장 안정 등이 있습니다.

    중앙 은행이 주로 이러한 지표를 고려하여 금리 결정을 내리는데, 각 지표의 상황과 전반적인 경제 상황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최적의 결정을 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경제가 성장하고 인플레이션 수준이 상승하며 고용 상황이 좋다면 금리를 인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결정은 국가와 중앙 은행의 정책과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조유성 AFPK입니다.

    ✅️ 물가상승률이 대표적이고, 미래 잠재 GDP 성장률, 고용률 등의 복합적인 경제지표를 보고 그 때 그 때 판단해서 결정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