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향기로운딱따구리238
향기로운딱따구리23823.09.14

부동산 단어 중 역전세가 무슨 말인가요?

요즘 뉴스나 인터넷 기사에서 보면 역전세라는 말이 많이 나오는데요 저는 이런 단어를 거의 처음 들어 봤는데 역전세가 무슨 말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곽대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역전세는 2년전에 내가 계약했던 전세가보다 현재 전세금이 낮아진 상태를 말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가격이 떨어져서 임대인이 보증금중 일부를 시세만큼 내려주거나 돈이 없으면 임대인이 내린만큼의 보증금을 이자를 쳐서 임차인에게 돌려주는 상황입니다

    편안한 하루되세요


  • 안녕하세요. 양정섭 공인중개사입니다.

    역전세란 아파트나 빌라등 주택가격이 떨어져 전세 시세가 계약 당시보다 하락해하여 집주인이 세입자에게 보증 금을 돌려주기 어려워진 상황을 말합니다. 여윳돈 없이 집을 산 갭투자자의 경우 기존 임차인에게 보증금을 주기 위 해서는 새로운 임차인을 찾아 전세 계약을 맺어야 하는데 기존 전세 가격에 새 임차인을 구하기가 어려워지고 낮춘 가격으로 계약을 해야 하니 집주인 입장에선 부담이 갈수 밖에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역전세는 기존세입자의 전세보증금 보다 현재보증금 시세가 낮아지는 것을 말합니다. 쉽게 전세가격이 하락하여 현 보증금보다 낮아지는것을 의미하며, 보통은 기존세입자와 재계약시 인하된 차액에 대한 반환이 어려워 인하된 만큼의 보증금차익에 대한 이자를 임대인이 매월임차인에게 지급하게 되는 현상을 말하기도 합니다.

    답변에 도움되셨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경 공인중개사입니다.


    역전세는 부동산 가격이 하락할 때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매매가격이 하락하여 전세가격이 같이 하락할 경우, 신규 임차인에게 받은 전세금이 기존 임차인에게 되돌려줘야 할 금액보다 적어지는 사태가 벌어지게 됩니다.


    쉽게 예를 들어 임대인이 기존 임차인에게 6억 원의 전세금을 받았다면 신규 임차인에게도 최소 6억 원을 받아야 전세금을 돌려줄 수 있지만, 만약 시세가 4억 원으로 떨어졌다면 임대인은 신규 임차인에게서 4억 원을, 그리고 모자라는 2억 원은 대출 등을 통해 기존 임차인에게 주어야 합니다. 이런 현상이 시장 단위로 벌어지는 경우가 현재 시장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


    도움이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행정사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 역 전세라는 용어는 "지난번 전세가격"에서 "새로운 전세가격"이 내려가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윤민구 공인중개사입니다.

    기존 계약후 만기가 도래하여 재계약 시점에 시세가 하락하여 최초 계약했던 임대보증금에서 거꾸로 임대인이 임차인에게 내줘야 하는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2년전 보증금 5억의 전세였는데 시세가 하락하여 4억정도에 형성이 되었다면 기존임차인에게 1억을 내주고 재개약 하거나 새로운 임차인 4억의 보증금을 받아 기존임차인에게 1억 보태서 5억을 내줘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 시세가 구 전세보증금보다 낮은 현상을 말합니다. 역전세가 발생하는 이유는 집값이 하락하거나 전세금이 인상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역전세가 발생하면 집주인은 전세금을 돌려줄 여력이 없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정부는 역전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세금 반환보증제도를 도입했습니다. 전세금 반환보증제도는 세입자가 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할 경우 정부가 대신 전세금을 돌려주는 제도입니다. 그러나 전세금 반환보증제도는 모든 세입자에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전세금 반환보증금을 내야 하는 등 몇 가지 조건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