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고용·노동

임금·급여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비정규직은 언제부터 어떤 이유로 생기게 되었나요?

아직도 직원이 정규직과 비정규직으로 나뉘어진 회사가 많이 있는 거 같은데 우리나라의 비정규직이 생긴 원인은 무엇이면 언제부터 생긴게 되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손인도 노무사
      손인도 노무사
      다일노무법인

      안녕하세요. 손인도 노무사입니다.

      우리나라의 비정규직이 생긴 원인은 무엇이면 언제부터 생긴게 되었나요?

      → 비정규직은 근로형태의 다양성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생겨난 개념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기중 노무사입니다.

      비정규직이란 기간제, 단시간, 파견 근로자 등을 의미하며 근로자란 것이 생길 때부터 있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노무사입니다.

      근로 방식 및 기간, 고용의 지속성 등에서 정규직과 달리 보장을 받지 못하는 직무를 말하며 IMF 이후 늘어났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성필 노무사입니다.

      IMF 이후, 기업의 유연한 운영을 위하여 기간의 정함이 있는 근로계약이 활발하게 체결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정규직 근로자를 해고하기 위해서는 근로기준법 제23조제1항의 '정당한 이유'가 있어야 하는 등 근로기준법상 해고제한 법리가 적용되므로, 노동시장에서 고용주들이 정규직보다는 비정규직을 선호하기에 비정규직이 양산되는 결과가 발생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수 노무사입니다.

      주로 기간제, 파견직 등은 IMF 이후 구조조정되면서 본격 생겨난 개념으로 보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되세요.

    •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우리나라의 고용형태는 IMF사태 이전에는 정년고용제를 유지하여 왔습니다. 그러나 1997년 IMF구제금융사태가 일어나자

      외국자본은 고용관계의 유연성 확보라는 요구사항을 관철할 것을 압박하였고 이를 계기로 비정규직 인원들이 증가하는 상황이

      발생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