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외과 이미지
신경외과건강상담
신경외과 이미지
신경외과건강상담
온화한쭈꾸미44
온화한쭈꾸미4422.08.27

정신과약 단약해도될까요?????

나이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불안장애 증상이 있어 정신과 진료 받아 약을 먹었는데요.

약먹은지는 약 8일정도 안먹은지 일주일정도 지났어요.

첫 진료후 8일정도 약 먹고 다시 컨디션 좋아지기도 했고, 약이 사실 건강식품도 아니고 의존하는건 안좋은것같으며, 일주일가량 안먹어도 불안증세가 없어 약안먹고 있는데 원래 예약일이라 병원 다녀오니 약이 몸에 큰 이상생기는거 아니니 꾸준히 먹어라 권하시긴 합니다.

그러나 전 현재상태가 괜찮고, 약에 의존하고 싶지 않고, 보험문제나 진료기록문제도 있어서 더이상 먹거나 진료받지 않아도 될것같은데 정신과 약 같은경우 이렇게 제마음대로 진행해도 될 문제인지 고민이 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약물을 처방한 담당의의 조언 아래 약물 중단을 조절해야합니다.

    임의로 중단하는 것은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한 행위입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정신건강의학과에서 꾸준히 복용하도록 권고하는 약물을 자의로 임의로 중단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진료를 더 이상 받지 않고 약물 복용을 스스로 중단하는 것은 개인의 자유이나 증상이 재발하고 심해질 가능성이 충분히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약물의 종류에 따라 리보트릴과 같은 약제는 갑자기 용량 감량없이 중단할 시에 금단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금단 증상의 대표적인 증상은 구역, 떨림, 어지러움, 심계항진, 혈압 변화, 경련 등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약물을 줄일때는 의사와 상의하여 줄이다 끊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항정신성 약물의 경우 투약의 유지, 중단 등은 꼭 전문의와 상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약을 중단한다고 하여 바로 증상이 악화되는 것이 아니기에 자의적으로 투약을 중지하는 경우가 생길수 있습니다만 이러한 경우 스스로 인지 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증상이 더 심해질수 있습니다. 꼭 전문의와 진료 후 조절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어떤 약을 드시고 계시는지 알 수는 없지만 약의 감량이나 중단은 주치의와 상의하는 것이 필요해요. 불필요하게 약을 장기간 드시게 하는 의사들은 거의 없답니다. 간혹 약을 갑자기 중단하면 부작용이 생기는 경우도 있어서 주의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노진수 의사입니다.

    처방받은 약은 환자분들 임의로 중단하시면 안됩니다. 꼭 진료보셨던 주치의 선생님과 상의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