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기타 육아상담

충분히미소짓는삼계탕
충분히미소짓는삼계탕

초등학교에 다니는 아이가 또래와의 갈등으로 인해 등교를 거부한다면 어떻게 도울 수 있을까요?

학교생활을 잘 하던 아이가 친구와의 갈등으로 인해서 등교를 거부한다면

이럴 때는 어떻게 아이를 도와줄 수 있는지/어떻게 불안감을 완화시킬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학교생활을 잘 하던 아이가 친구의 마찰로 인해 학교 등교를 거부한다면

    우선 사실적 관계를 확인해 보는 부분이 필요로 합니다.

    그 전에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돌보면서 아이와 대화적인 소통을 통해 아이의 심리적 +정신적인

    부분을 치유해 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리고 아이가 왜 친구와 마찰이 생겼는지, 이러한 마찰로 인해서 친구와 관계의 문제점은 무엇인지 아이의 이야기를

    들어보고 우리 아이의 잘못이 있다 라면 우리 아이의 잘못된 부분을 짚어주고, 왜 그 부분이 잘못 되었는지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적절한 설명을 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하지만 우리 아이의 잘못이 없고 친구의 잘못이 크다면 담임 선생님과 상담을 통해 친구의 행동지도를 부탁 드리는

    것이 좋겠습니다.

    더나아가 나 라는 이기주의 보다는 상대를 배려하고, 존중하고, 상대의 마음을 이해하고, 상대의 감정을 공감하며

    사이좋게 지낼 수 있도록 아이에게 인성교육을 시켜주어 친구와 사이좋게 지낼 수 있도록 아이의 행동을 지도하여

    주면 좋을 것 같네요.

  • 아이가 친구와의 갈등으로 인해서 아이가 등교를 거부하니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이러한 경우

    아이의 감정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입니다.

    친구와의 갈등을 구체적으로 들어봅니다.

    학교와 협력하고 불안 완화 방법을 실천합니다.

    부모가 기억해야 할 것은

    아이의 등교 거부는 버릇이 아니라 도움이 필요한 신호라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또래 갈등으로 등교를 거부할 때는 우선 아이의 감정을 충분히 들어주고 공감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문제를 단순히 '가야한다'로 압박하기보다는 아이가 느낀 불안과 서운함을 함께 이야기하며 안전감을 주어야 합니다. 상황을 구체적으로 파악한 뒤 담임 선생님과 협력하여 해결 방안을 찾고, 아이가 다시 친구 관계에서 긍정적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작은 성공 경험을 지원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먼저 또래 친구와의 갈등인지, 따돌림이나 폭력 사안인지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겠습니다. 담임교사의 중재로 해소될 수 있는 사안인지, 아니면 학교폭력심의위원회 접수가 필요한 사안인지 살펴봐야 합니다. 보호자는 아이를 다독이고 아이의 잘못이 아님을 명확히 말해주고 필요 시 심리 상담이나 놀이 치료의 방법도 고려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최근에는 지역에 따라 화해중재위원회를 통해 문제 해결을 도모하는 프로그램도 있으므로, 이를 알아보시기 바라며 학교에 위클래스 상담 교실이 있다면 상담을 받아보는 것도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 아이 입장에서 보면 친구와의 갈등은 세상이 무너지는 것처럼 크게 느껴질 수 있어요. 먼저 "그랬구나, 속상했겠다' 하고 아이 마음을 충분히 공감해주는 게 가장 중요해요. 그리고 바로 등교를 강요하기보단, 집에서 대화하며 갈등 상황을 정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선생님께 상황을 공유해 아이가 혼자가 아니라는 걸 느끼게 해주는 것도 좋아요. 아이에게 "네가 혼자가 아니고, 우리 함께 방법을 찾을 거야" 라는 확신을 주는 게 제일 큰 힘이 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