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고용·노동

근로계약

종종시끌벅적한돼지국밥
종종시끌벅적한돼지국밥

퇴사할때 강제로서류에사인한게무효될수있을까요?

근무환경이나 복지자체가 좋지않은곳에서 근무를 했었습니다 입사후 계약서작성할때 원래휴무와 대체휴무를 바꾸어도 괜찮은지 동의서를 같이 작성했구요

계약서작성할때는없었던사항입니다

유연근무제?시간적립했다가 일찍퇴근해주는게 있는데 지각시 마이너스로 제가그동안 근무한시간이 다 없어지는 그런 회사내규가 있더라구요 저는 퇴사하고 사실별의미없다고생각했는데 월급이 상당히차이가 많이나서요

제가당일통보로 퇴사하긴했는데 위에 사항 법적으로 금전적으로 불만사항을제기하지 않는다는 각서를 쓰게했거든요ㅠ 아무리생각해도억울한데 고용?법노동법?신고했을때 영향이 클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구고신 노무사입니다.

    우선 지각을 하면 그만큼의 임금을 공제하는것은 법률상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또한 유연근무제(아마도 선택적 근로시간제)가 요건을 갖추어 도입되었다면 근로시가에서 비근로시간(지각)을 제외하는것도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각서같은 경우 강제로 서명했다는것을 입증한다면 그 효력을 부인할 수는 있으나, 애초에 문제의 원인이 지각에 따른 근로시간 공제이고, 임금이 과다하게 공제된 것이 아니라면 문제 삼아도 의미가 없을 수 있습니다

    금액이 어떤 면에서 과다 공제가 된 것인지 파악해 보심이 좋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종영 노무사입니다.

    사기나 강박으로 인하여 동의를 한 경우에는 해당 동의는 무효가 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사기나 강박이 있었음을 입증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일단 해당 서류에 서명/날인했다면 진정한 의사가 있다고 보아 그 효력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서명/날인이 사용자에 강요에 의해 어쩔 수 없이 이루어졌다는 점을 질문자님이 입증할 수 있어야 그 효력을 부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