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더워요111
더워요11124.03.12

용적률과 건폐율은 어떤 차이가 있는 용어인가요?

안녕하세요 ~

부동산에서 자주 사용되는 용어에

용적률과 건폐율이 있는데

이 두 용어는 어떤 차이가 있으며 어떤 의미를 지닌 용어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구자균 공인중개사입니다.

    용적률은 땅에서 건물을 올릴 수 있는 비율을 말합니다.

    높은 건물로 올릴수록 수익성이 좋아지니, 용적률은 높을수록 좋습니다.

    건폐율은 대지지분에 건축 면적을 계산하는 개념입니다.

    예시로 100평 땅에 30평 건물을 지으면 건폐율 30%이라 표현합니다.

    건폐율이 높을수록 빽빽해지니 건폐율은 낮을수록 좋습니다.

    투자성으로 건물을 살펴볼땐

    용도에 비해 용적률과 건폐율이 낮을수록, 사업성이 높아집니다.

    ai로 복붙이 아닌, 직접 질문을 읽고 답변드리고 있습니다.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더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쉽게 설명드리면 건폐율은 토지면적에서 건물을 지을수 있는 면적의 비율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100평 토지에 건폐률 40%라면 100평중 40평까지만 건물을 지울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용적률은 건물의 층수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토지면적 대비 건물 연면적에 비율을 말합니다. 연면적은 건물 각층의 바닥면적 합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용적률 300%인 100평토지가 있다면 용적률에 따른 (건물) 예상 연면적은 300평(토지면적100평*300%)이 됩니다. 여기에 건물을 건축하는데 한층당 바닥면적이 50평인 건물이라면 6층으로 건물을 올릴수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강애 공인중개사입니다.

    연면적은 건축물 바닥면적의 합계를 말하고 용적률이란 대지면적에 대한 건물 연면적의 비율을 말합니다.

    용적률이 높을수록 대지면적에 대비 건축연면적이 넓다는 의미이고 건물을 고층으로 건축할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연면적 산정시 주차장과 옥상, 장애인 엘리베이터는 연면적에서 제외됩니다.

    건폐율은 전체 대지면적에 건축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을 뜻합니다.

    건폐율이 높으면 건물 밀집도가 높아져 채광 통풍, 조망권 사생활 보호에 제약이 따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곽대영 공인중개사입니다.


    건폐율은 대지 면적에서 건축물이 차지하는 면적입니다.

    100평의 땅에 건폐율이 50% 제한이면 건축물의 면적이 50평까지만 지을 수 있는것입니다.

    용적률은 건축물의 모든 바닥 면적을 더한값을 대지 면적으로 나눈 값입니다

    100평의 땅에 50평씩 건물이 올라가는데 4층까지 올라가면 건물의 연면적은 200펴입니다.

    200평을 100평으로 나누면 2이고 용적률은 200% 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쉽게 아파트로 설명하면

    건폐율은 동간 거리가 가까워지는 거며

    용적률은 아파트

    층수가 높아지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행정사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리겟습니다.

    용적률과 건폐율이 있는데

    이 두 용어는 어떤 차이가 있으며 어떤 의미를 지닌 용어인가요?

    ==> 건폐율을 바닥면적중 건축면적을 차지하는 비율이고 용적율은 바닥면적을 각 층별 합한 비율을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