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23.09.12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긍적정인 효과는 따로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요즘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고물가로 서민들의 삶이 팍팍해지고 있는데요

이런 인플레이션은 안좋은점이 많지만, 혹시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긍적정인 효과는 따로 없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2%정도의 적정 수준의 인플레이션은 소비자들의 소비 성향을 촉진하여 경제를 부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긍정적인 효과라고 할 수 있다면 시중의 화폐 유동성이 증가하게 되면서 소비자들의 소비활성화와 이로 인한 기업들의 실적 향상으로 인한 경제적인 호황기를 누린다는 것이에요.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본적으로 적당한 인플레이션은 경제에 좋습니다. 명확한 원리에 의해 산출된 것은 아니지만 미 연준에서도 인정하고 있는 물가상승률 2% 입니다. 적당한 인플레이션은 인건비의 상승, 자산가치의 상승, 기업의 매출 및 영업이익의 상승을 동반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적당한 인플레이션은 소비를 자극하여 기업들의 매출을 상승시키고, 투자 및 고용 확대로 이어져 경기확장으로 이어집니다. 반면에 디플레이션은 소비 지연이 발생하게 되면서 기업들의 실적을 감소시켜 투자 및 고용 위축으로 이어져 경기가 침체되는 현상을 겪습니다. 따라서 중앙은행은 적당한 인플레이션을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적절한 통화정책을 실행하기 위해서 노력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의 경우 기본적으로 인플레이션은 경제성장기에 나타남에 따라 국가 경제규모가 커지고 또한 인플레이션의 경우 한국통화가치를 떨어뜨려 수출과 관광수지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칩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 성장 시에 적정 인플레이션은 자연스럽고 경제에 이롭기도 합니다. 선진국과 개도국에 따라 다르나 한국 같은 선진국의 경우 2~3%의 경제 성장 하에 2% 내외의 물가 상승은 양호하고 바람직합니다. 자산 가격이 상승하고 임금은 그 보다 더 크게 상승하여 구매력 개선에 도움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가 상승함 원화가치하락하니 달러로 물품 대금 받는 수출기업은 좋습니당~ 이게 장점이긴하네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