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임금·급여 이미지
임금·급여고용·노동
임금·급여 이미지
임금·급여고용·노동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24

산재보험 보상시급여책정은 어떻게하나요?

일정한 월급이 아니고 일용직(일당제)근로자분들의 산재보험 휴업급여 보상시 급여책정은 어떻게 하나요? 최저임금 또는 받는 일당으로하는지 아니면 다른 방법으로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이종영 노무사blue-check
    이종영 노무사23.02.24

    안녕하세요. 이종영 노무사입니다.

    산재 승인 시 지급받는 급여는 요양급여(의료 비용), 휴업급여, 간병급여(간병이 필요한 경우 간병 비용), 상병보상연금(요양 개시 후 2년이 경과하여도 치유되지 않는 경우의 보상금), 유족급여 및 장의비, 장해급여 등이 있습니다.

    휴업급여는 평균임금의 70퍼센트로 책정합니다. 평균임금은 3개월 간 임금총액을 3개월 일수로 나누어 계산하며, 임금총액에는 해당 기간중의 급여 및 1개월을 초과하는 기간에 대하여 지급하는 임금의 3개월분이 산입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승호 노무사입니다.

    일반근로자들의 경우 휴업급여 산정은 평균임금의 70%로 계산하지만 일용근로자는 일반근로자에 비해 1일 단가가 높고 전체 근무일수가 적은 경우 일당의 통상근로계수에 70%곱한것이 평균임금이되고 그 값에 70% 휴업급여로 지급합니다.여기서 통상근로계수란 일용근로자의 월평균 근로일수를 일당으로 산정하기 위한 계수를 말합니다. 충분한 설명이 되었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기중 노무사입니다.

    일용근로자에게 평균임금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해당근로자의 일당에 통상근로계수(73/100)를 곱하여 산정한 금액을 평균임금으로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1. 휴업급여는 업무상 사유로 부상을 당하거나 질병에 걸린 근로자에게 요양으로 취업하지 못한 기간에 대하여

    지급하는 금액입니다. 이러한 휴업급여의 1일당 지급액은 평균임금의 70%입니다.

    2. 1일 평균임금은 평균임금은 퇴직전 3개월 동안에 지급된 임금총액을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금액으로 계산합니다.

    3.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산재휴업급여는 요양기간에 대하여 1일당 평균임금의 70%로 산정하여 지급함이 원칙입니다. 이 때, 일용직 근로자의 1일 평균임금은 일용직 근로자의 일당에 1개월간 실제 근로일수 등을 고려하여 고용노동부장관이 고시하는 통상근로계수 73%를 곱하여 산정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호병 노무사입니다.

    귀하의 질문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합니다.

    일당직 근로자에 대해서는 특별히 계산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더 자세한 사항은 근로복지공단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