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하원후 계속 매달려있어요.,
18개월아기 어린이집간지 2주 됐습니다
적응 잘하나 싶었는데 어제오늘엄청 울고 안들어가려고 하더라구요 오늘은 힘이하나도없고 어린이집가서 콧물을 흘리긴했지만 열도없고 그런데 엄청 매달리고 안떨어지려해요 엄청활달한 아기인데 무릎 배 계속매달리고 가끔울기도 하네요
정상적인 반응인지 아니면 무슨일이있어서 계속 안떨어지려는건지 모르겠습니다
안자던 낮잠도3시간이나 자고 걱정되네요 어린이집에서 무슨일이있었을까요..??ㅜㅜ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정상적인 반응으로 보입니다. 18개월에는 낯가림이 심한 시기이며 아이에 따리 분리불안 정도가 다릅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아이들은 그 시기에 부모와 떨어지는 것에 대한 불안으로 인해 울고 매달리는 증상을 보이므로 염려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하원 후 특이 모습을 보이는 경우 아이를 진정시킨 후
대화를 통해 어린이집에서 경험한 일들에 대하여 자연스럽게 대화를 시도하시는
것을 권합니다. 아이들의 경우 무섭거나 긴장된 분위기에서는 과장된 말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아이 심리안정이 우선이며 어린이집 선생님 등을 통해 확인해보시는 것도 방법입니다.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매달리는건
불안감으로인하여그렇답니다
원에서안좋은기억이있다거나
하원시 자신의생각보다부모가늦게오거나막연한기다림으로인해불안감이와서그럴수있답니다
아이에게신뢰와 안정을주도록하면좋아요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환경이 바뀔때 적응하는데 시간이 걸립니다.
아이들마다 힘들어하거나 몸살이 나거나 보채는 경우도 있으니 선생님과 상담후에 친구를 만들어 주시는 것도 좋은 방법일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어린이집을 다닌지 2주가 됐다면 조금 더 기다려 보셔야 합니다.
원 적응 기간은 한달 정도 이며. 적응이 딱 한 달 되었다고 적응이 되는 것이 아니라 3개월 또는 3개월이 지나서야 적응이 되는 아이들도 있습니다.
아이가 어린이집에 가기 싫어하는 이유는 '
첫째, 너무 잘 놀아 피곤해서 그렇습니다.
둘째, 감기로 인한 질병으로 인해 컨디션이 안 좋아서
셋째, 교우관계 및 선생님과 상호작용으로 인해서
넷째, 학습에 흥미가 없어서
다섯째, 식습관으로 인해서
여섯째, 가정과 다른 화장실 분위기에 적응이 안되어서 또는 대소변 훈련으로 인해 스트레스 받아서 등 다양한
원인이 있습니다.
우선은 담임 선생님과 상담을 통하여 아이가 원에 적응할 수 있도록 가정과 원이 연계하여 아이의 원 적응을 도와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이주쯤 되면 아이가 떨어지는것에 대해서 거부감이 생길수있습니다
보통 한달정도를 적응기간으로 보고있으며
아이가 잘가다가도 다시 집에 가고싶고 떨어지기 싫은 마음이생길수있으며
이럴땐 아이를 잘 다독이고 보내주시는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