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장미, 골계미, 숭고미는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시를 공부하다보면 종종 비장미, 골계미, 숭고미와 같은 말들이 종종 등장하는데요~ 그런데 이런 비장미, 골계미, 숭고미는 무슨 뜻인가요?
골계미는 대상과 상황이 어울리지 않는 부조화에서 나오는 즐거움
비장미는 장엄한 비극의 아름다움
숭고미는 거룩한, 현실을 초월한 아름다움
을 뜻합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
시에서 보통 있어야 할 것에 의해 융합이 이루어지면 숭고미가, 있는 것에 의해 융합이 이루어지면 조지훈의 <승무> 와 같은 시에서는 우아미가 느껴지고, 있어야 할 것을 긍정하고 있는 것을 부정할 때 즉, 김소월의 초혼과 작품에서는 비장미가, 있는 것을 긍정하고 있어야 할 것을 부정하고 파괴할 때 골계미가 느껴진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문학은 예술의 하위갈래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사람들에게 작품을 통한 아름다움을 전달하는 것을 목표로 삼습니다. 그래서 작품의 특징을 통해 아름다움의 요소를 독자에게 전달하게 되는데 미적요소를 비장미, 골계미, 숭고미, 우아미 등으로 분류하게 됩니다. 비장미는 소망하는 것이 현실의 상황에 부딪혀 실현되지 못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감정과 함께 일어나는 미의식입니다. 골계미는 자연의 질서나 이치를 의의있는 것으로 존중하지 않고 추락시킴으로써 미읙이 나타납니다. 풍자와 해학의 수법으로 우스꽝스러운 상황이나 인간상을 구현하고 익살을 부리는 가운데 교훈을 줍니다. 숭고미는 화자가 현실에서 자연과의 조화를 실현하고자 하는 태도를 보임으로써 나타나는 미의식입니다. 화자가 자연과의 조화를 추구하고 이를 현실에서 실현하고자 하는 태도를 보입니다. 우아미는 현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 소박하고 친근한 것을 추구하는데서 발생하는 아름다움을 말합니다. 고상하고 기품이 있는 멋을 드러냄으로써 추구하는 미의식입니다.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
숭고 비장 골계의 미적 범주는 일상적으로 의식할 수 있는 살아가는 방식입니다. 문학작품은 이들을 예술적 질서에 맞도록 집약화해 미적 범주라고 부르는 미의 기본적인 분별 양식으로 삼고 있다고 보고 그 작품에서 메세지를 표현하는 방식에 있어서 어떠한 태도를 가지고 있는 지에 대해 판단하기 위해 미학의 개념을 접목시킨 것입니다.
작품을 표현하는 방식에 따라서,
비장미는 대상의 위대성과 적극적 가치를 지닌다는 점에서 숭고미와 공통점을 지니지만 그와 달리 당연히 이루어져야 할 이상이 시련에 부딪혀 침해되고 멸망하는 과정 내지 결과에서 생겨나는 격렬한 고뇌 속에서 얻게 되는 드라마틱함이 있습니다. 현실적인 것이 우세한 상황에서 이상적인 것을 끝까지 할 때 나타날 수 있습니다.
골계미는 앞선 범주들과 (특히 숭고미, 우아미) 대립하는데, 우아한 것을 실추시키려는 인간의 욕구에 의해 나타나는 아름다움입니다. 이러한 목적의 실행으로 발생되는 작은 결과가 해방감과 자유를 느끼게 합니다.
숭고미는 높고 커다란 이상을 추구하는 미의식의 범주이며 우월한 것, 위대한 것을 추구하는 인간의 요구에 응하는 미입니다. 이상적인 것이 현실적인 것보다 우세한 상황에서 이상적인 것을 추구함으로써 나타나는 아름다운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참조 출처 - 조동일의 <한국문학의 양상과 미적범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