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등 발가락 뼈 금간 부위를 매주 엑스레이 촬영이 필요한가요?
9월초 80대 노모께서 넘어지시어 발등이 부어올라 익일 동네 정형외과를 방문 엑스레이를 찍었지만 엑스레이 상에서는 부러지거나 금간 부위가 나타나지 않아, 의사선생님께서 초음파를 찍어봐도 되냐 물어 동의 했고, 초음파상에서는 엑스레이에서 보이지않는 실금을 발견 6주판정 받고 반기부스를 하고 지금까지 4~5주 생활하고 계신데요.
궁금한것은 엑스레이 상에 나타나지 않는 부위임에도 매주 방문할때마다 엑스레이를 여러번 발등을 촬영하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의사선생님이 무슨 생각이 있어서 그런가 보다 했고 또 잘 모르는 일반인이 굳이"왜 잦은 촬영을 해야 합니까?"라고 물으면 혹여나 기분나빠 하실것같아 매번 말은 못하고 몸에 좋지않은 엑스레이를 촬영중
그래서 엑스레이를 매주 방문시 원래 위와같이 찍어야 하는것인지 무슨 이유가 있어서 인지 궁금해서 도움받고자 질문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동진 물리치료사입니다.
어머님이 발 골절로 불편이 있으시군요.
연세가 많으시다보니 뼈가 약하며 골절 회복이 잘 되지 않으시다보니 진료 시 마다 상태를 확인해 보시는 것 같습니다.
초음파를 찍으면 더 자세히 알 수 있기는 하나 비용적으로 부담이 되실 수도 있으며 x-ray 촬영 시 증상이 심해 지신다면 골절 부위가 확연히 나타날 수 있어 골절 회복 상태 확인을 하기 위해 검사를 하시는 것 같습니다.
x-ray 촬영은 방사선량이 극히 적기 때문에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것입니다.
자세한 것은 담당의사선생님께 문의 해보시면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어머님이 빠른 쾌유하시길 바라며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강록 물리치료사입니다.
보통 골절이 미세하거나 금이 간 경우엔 엑스레이로 확인 하기 어렵기에 초음파 검사를 하는것이 좋으면 매주 정기적으로 엑스레이 검사를 하는 이유는 보통 골절이 된 후 시간이 지나면서 골진이 생기고 뼈가 붙는 과정이 엑스레이에서 확인이 됩니다.
골절시 매주 엑스레이로 촬영하는것은 일반적이며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이니 걱정하지않으셔도 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엑스레이를 방문시마다 촬영하는 것은 구조적 이상의 확인을 위함일 수 있습니다.
미세골절의 경우에도 유합이 되지 않는 경우 벌어지거나 구조적 정렬의 변화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이에대한 확인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의도는 주치의에게 질문을 해보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이런 사항에 대해서는 질문을 하셔도 크게 문제가 되는 것이 아닙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금이간상태에서 치료를받고잇는상태라면 경과를 위해서 다시 엑스레이촬영이필요할수잇는데요 하지만 너무자주촬영하는건 굳이 필요하지않은 검사일수있습니다
지금 다니고있는병원에서 신뢰를 잃었다면 다른병원에서 검사와치료를받아보시길 바랍니다
좀더 자세한건 병원에서 전문의와 상담을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수영 물리치료사입니다.
실금 같은 경우는 x ray에서 안보여서 추적 촬영이 필요 할 수 있습니다.
매주는 조금 많을 수 있지만 2주 정도로 하는 경우는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연세가 있으셔서 실금이라도 혹시나 하는 어긋남 같은 변수에 확인을 할 수도 있습니다.
걱정하시는 손이나 발쪽의 방사선은 걱정 할 정도는 아닙니다.
매주 촬영 관련해서는 선생님께 직접 물어보셔도 크게 문제 될 것이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부목고정하고 깁스 치료하는 과정에서 어긋나거나 문제가 생기면 다른 치료방법으로 변경되므로 추적관찰을 위해 촬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