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도도한곰219
도도한곰219

독감백신을 작년에 접종했는데 올해도 또접종해야하는 이유는 뭔가요

성별
남성
나이대
60

작년에 독감백신을 이미 접종을 했는데도 올해도 또 접종을 해야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작년에 접종을 했는데도 독감에 걸려서 올해는 어떻게할지 고민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독감 바이러스가 매년 변종이 생기기 때문에 작년 백신으로는 올해 유행하는 바이러스를 막을 수가 없어요. 세계보건기구에서 그해 유행할 것 같은 바이러스 종류를 예측해서 매년 새로운 백신을 만드는데, 예측이 완벽할 순 없어서 맞아도 걸릴 수는 있어요. 그래도 백신 맞으면 독감에 걸려도 증상이 많이 약해지니까, 접종하시는게 좋을 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이정재 의사입니다.

    독감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로 매년 유행이 예상되는 type이 다르기에 미리 예상해서 몇가지 종류를 선저해서 맞히게 됩니다. 또한 바이러스 특성상 끊임없이 변이가 일어나고, 항체 역가도 시간이 지나면서 줄어들기 때문에 매년 접종을 권고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시는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influenza virus 가 매년 변이를 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매년 백신을 접종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

    독감 바이러스는 매년 유전적으로 변이가 일어납니다. 작년 유행했던 바이러스와 올해 유행할 바이러스가 다르기 때문에 작년에 맞은 백신은 올해 바이러스에 대해 효과가 부족할 수 있습니다. 독감 백신 유효 기간 자체도 6개월~1년 정도로, 시간이 지날수록 항체 수준이 낮아져 바이러스에 대한 보호효과가 줄어듭니다.

    WHO는 매년 유행할 것으로 예상되는 바이러스를 분석해 그에 맞춰 백신 구성을 새로 만들기 때문에 작년 백신은 올해 유행할 바이러스와 불일치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 백신은 독감 감염을 완전히 예방하는 목적이라기보다는 독감에 걸리더라도 증상을 경감하고 합병증을 예방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작년에 백신을 맞고도 독감에 걸렸다하더라도 백신 덕에 증상이 더 가볍게 나타났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독감에 걸린 이력이 있어도 동일 바이러스 유형에 대해 면역이 생기지 않을 수 있으므로 올해도 백신을 접종맞는 것이 안전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독감접종은 모든 인플루엔자에 대한 면역력을 획득할수는 없고 그해 유행할 것을 몇개 선택하여 백신을 만드는것이므로 매년접종을 해야 합니다 독감백신접종 했다고 독감이 전혀 안걸리는것은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독감 백신은 접종 완료 6개월 이후에 항체량이 적어짐이 보고되었기에 6개월 이후에는 추가접종이 필요로 됩니다.백신을 접종해도 독감에 걸릴수는 있으나 약하게 증상이 지나갈 가능성이 높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