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사 직업이 궁금한데 답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제가 주사공포증이 심한데 사회복지사 자격증, 사회복지사 관련된 취업 할 때 채혈 검사 안 할 수도 있나요 ?
사회복지사 자격증 따서 어떤 직업을 가질 수 있나요 ?
안녕하세요. 고동열 사회복지사입니다.
사회복지기관은 물론 보통 모든 회사 취업 시 배치 전 건강검진결과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그리고 년 1회 정도 직원들 상대로 건강검진을 진행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그때 마다 채혈은 필수입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사회복지사입니다.
사회복지사로 근무를 하려고 한다면
보건증을 필수로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구요.
건강검진 즉 채용신체검사를 떼어야 하는 부분에 있어서 채혈을 해야 함이 있어서
채혈 검사는 안 할 수 는 없습니다.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취득하면 노인.아동.병원.장애인 기관 등에서 근무 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복지사 채용에 앞서 건강검진을 하게 되는데
보통은 기본적으로 혈액 검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는 간 기능, 신장기능, 혈당, 지질 등의 검사가 목적입니다.
사회복지사 자격증으로 사회복지직 공무원(채용 시험 합격시), 노인, 아동, 장애인 등 사회복지관 및 복지센터
의료복지분야, 학교 및 교육기관, 민간기관 및 사회적 기업에 취업을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경태 사회복지사입니다.
사회복지사는 채용시 따로 채혈검사를 하지는 않습니다. 건강검진을 하는 기관이라면 모를까 그런 것은 염려하지 않아도 됩니다.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취득하신다면 사회복지사로 취업할 수 있습니다. 사회복지사로 취업을 해야 경력을 인정받고 사회복지사 1급 시험을 칠 수 있는 자격도 주어집니다. 다만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취득하고도 사회복지사가 아닌 다른 기관에서 취업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사회복지사 취업캠프에 가니 사회복지사 장롱 면허라고 하더군요. 사회복지사가 하는 일은 행정업무와 행사기획 프로그램진행 상담업무 및 클라이언트 송영업무 등이 있는데 봉고자동차를 실운전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사회복지사로 취업이 안됩니다. 특히나 남자사회복지사는 더 그렇습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사회복지사입니다.
사회복지사 취업 시 신체검사서는 기관마다 다르기 때문에 무조건 제출하는 것이 아닙니다. 하지만 많은 사회복지시설에 취업 시 감염병 예방을 위해 요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지정병원이나 보건소에서 발급받을 수 있는 보건증은 아동, 노인, 장애인 등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시설에서 보건증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회복지사 자격증으로 가질 수 있는 직업의 분야는 다양하지만 대표적으로 사회복지관, 사회복지시설, 노인복지기관, 장애인복지시설, 아동 및 청소년 복지시설, 정신건강분야(정신건강복지센터, 자살예방센터, 중독관리센터 등),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학교사회복지사, 의료사회복지사, 교정사회복지사, 재가복지센터, 사회복지직 공무원, NGO, 사회복지사협회 등 직업을 가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