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슬기로운만보
슬기로운만보23.04.18

국제상거래에서 주로 사용되는 화폐로는 어떤 것이 있나요?

안녕하세용 화폐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제목 그대로 국제상거래에서 주로 사용되는 화폐로는 어떤 것이 있나요?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

    무역 거래에서 결제 통화는 매매 당사자간 자유와 합의에 의합니다.

    다만, 기축통화인 달러가 외환 리스크와 거래 시 유용한 점이 많아 대부분은 달러로 거래되고 있습니다. 일부 거래에서는 위안화, 유로화, 엔화, 원화로도 결제가 이루어지며 오늘날에서 달러의 비중이 매우 큰 것은 사실입니다.

    달러의 결제 비중은 약 40% 내외로 조사되고 있습니다.

    답변 내용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추천' 및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박재민 관세사 드림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국제상거래에서 주로 사용하는 화폐는 USD(미국 달러)입니다.

    이러한 USD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이유는 미국이 세계 1등국가이기에 이에 따라 해당 화폐가 신뢰도가 가장 높기 때문입니다. 현지통화로 결제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통화에 대한 가치가 변동성이 있기 때문에 가장 안정성이 높은 USD로 대부분의 무역거래들의 결제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USD는 전세계적으로 가장 수요가 많은 화폐이기에 환전이 용이하고 환전수수료도 저렴합니다. 동남아 여행을 갈때 한국에서 바로 현지통화로 환전하는 것보다 한국에서 USD로 환전후 이러한 USD를 현지에서 환전시 수수료가 오히려 적게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처럼 USD는 환전의 용이성 및 환전수수료의 저렴함으로 인하여도 많이 사용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하며, 도움이 되신 경우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성 관세사입니다.

    국제 상거래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화폐는 달러입니다. 이는 달러가 전세계적으로 기축통화이고, 국제적으로 가장 신용이 높은 통화이기 때문에 환리스크 등을 대비하기 위해 달러 결제가 가장 많이 이뤄지는 것입니다. 수수료 등이 가장 저렴하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다만, 모든 대금 결제가 달러로 이뤄지는 것은 아닙니다. 무역 결제 시에는 달러 뿐만 아니라 여러 통화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통화에는 미국 달러, 유로화, 위안화, 엔화가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달러 결제 비중이 높은 편인데, '2021년 중 결제통화별 수출입'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수출 결제 대금의 통화별 비중은 미국 달러 83.9%, 유로화 5.9%, 엔화 2.6%, 원화 2.4%, 위안화 2.0% 로, 달러의 비중이 절대적으로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https://www.kita.net/cmmrcInfo/cmmrcNews/cmmrcNews/cmmrcNewsDetail.do?pageIndex=1&nIndex=68048&sSiteid=1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

    무역 거래 시 계약자유원칙에 따라 대금결제와 관련하여 당사자간 합의한 방법으로 통화를 정하여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국가마다 무역대금 결제 시 대금결제가 가능한 통화를 다르게 규정할 수 있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달러, 유로 등과 같은 환율 변동성이 크지 않고 유동성이 부족하지 않은 국제적으로 신용도가 높고 확실한 통화를 사용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가로 수취할 수 있는 통화인 영수통화는 IMF 8조국, 홍콩 달러, 유럽통화단위인 유로 등으로 선별 지정되어 있고, 지급에 사용되는 지급통화는 어느 나라의 통화이든지 관계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국제상거래에 사용되는 기축통화로는 미국 달러화가 가장 많이 사옹되고 있습니다. 미국은 역사적으로 세계 1, 2차대전을 치룬 후 강대국으로 부상하고, 1970년대 1, 2차 중동국가 석유파동을 겪으면서 달러화 위상이 흔들렸으나,

    사우디아라비아를 군사지원하고. 석유원유 결재를 미국 달러화로 결제하도록 함으로써 더욱 기축통화로서의 위상을 갖게 되었습니다.

    미국 달러화 이외에도 중국 위안화, 일본 엔화등도 국제상거래시 사용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