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활발한당나귀246
활발한당나귀246

FTA 자유무역협정이 수출입증대에 얼마나 기여했나요?

최근 우리나라가 체결한 다양한 FTA 협정이 실제로 수출입증대에 얼마나 기여하고 있고 어떤 산업 분야에서 가장 큰 혜택을 보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가 체결한 FTA는 전반적으로 수출입 증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일부 산업 분야에서 큰 혜택을 보고 있습니다. 2004년 한-칠레 FTA 이후 현재까지 52개국과 15건의 FTA를 이행하면서 수출입이 전반적으로 증가했으며, 한-미 FTA의 경우 발효 후 10년간 연평균 대세계 수출은 23억 4,000만 달러, 수입은 2억 1,000만 달러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었습니다. 구체적인 사례로는, 수산업에서 EU와의 FTA 발효 후 EU산 수산물의 수입액이 발효 전 대비 78.4% 증가했으며, 주요 수입 품목은 골뱅이, 참다랑어 등이 있었습니다. 제조업에서는 한-미 FTA로 인해 자동차, 전자, 섬유 등의 산업에서 수출 증대 효과가 나타났으며, 특히 자동차 산업은 관세 철폐로 인한 가격 경쟁력 향상으로 미국 시장에서의 점유율이 증가했습니다. 농업 분야에서는 FTA로 인한 수입 증가로 일부 피해가 있었지만, 동시에 고품질 농산물 수출 기회도 확대되어, 한-EU FTA 이후 김치, 인삼 등 한국 전통 식품의 유럽 수출이 증가했습니다. FTA 체결은 또한 국내 산업의 구조조정을 촉진하여 장기적으로 산업 경쟁력 향상에 기여하며, 외국인 직접투자(FDI) 유치 확대 효과도 있어 국내 산업 발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칩니다. 이와 함께, 정부는 무역피해를 입은 중소기업을 위해 무역조정지원사업을 통해 융자 및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FTA는 우리나라의 수출입 증대에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으며, 특히 제조업, 수산업, 일부 농식품 산업에서 큰 혜택을 보고 있지만, 일부 산업에서는 수입 증가로 인한 피해도 있어 이에 대한 적절한 대응과 지원이 필요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가 FTA를 체결하는 경우 보통 가장 많은 혜택을 보는 부분이 자동차 및 의류입니다. 이에 따라 수출에 대하여 큰 도움을 주고 있으며 자동차의 경우 보통 10%이상의 관세가 부과되는 경우가 많기에 이러한 혜택을 통하여 원가경쟁력을 가질 수 있게 됩니다. 아울러 수입의 경우 보통 FTA를 통하여 새로운 축산물, 농산물 등이 수입되기에 소비자에게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하지만 농가에 피해를 입히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FTA에 따른 효과는 각 협정별로 분석되어야 할 것입니다.

    최근 한국무역협회에서 FTA 발효 20주년을 맞아 현황을 점검한 바 있습니다.

    관련 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kita.net/researchTrade/report/commerceReport/commerceReportDetail.do;JSESSIONID_KITA=18D6134C9E34D79C981FDA07443A085C.Hyper?no=2599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경훈 관세사입니다.

    자유무역협정(FTA)은 국가 간 무역 장벽을 낮추고 상품과 서비스의 자유로운 흐름을 촉진하기 위한 협력으로, 세계 경제에서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여러 나라와 FTA를 체결함으로써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으며, 다양한 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미 FTA는 한국의 자동차와 전자제품 수출에 큰 도움이 되어 국내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FTA는 수출입 품목에 대한 관세를 낮춰 기업들이 유리한 조건에서 거래할 수 있도록 하고, 해외 시장의 다양화에도 기여합니다. 이러한 긍정적인 효과를 통해 FTA는 실질적인 기회를 제공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FTA 체결은 우리나라의 수출입 증대에 매우 큰 기여를 해왔습니다. FTA 체결을 통해 관세 장벽이 낮아지고 비관세 장벽이 완화되면서, 우리 기업들은 해외 시장에 더욱 쉽게 진출할 수 있게 되었고, 외국 기업들도 우리나라 시장에 대한 접근성이 향상되었습니다.

    FTA 체결은 산업별로 다양한 효과를 가져왔으며, 그중에서도 자동차 부품, 완성차 등 자동차 산업은 FTA 체결을 통해 가장 큰 수혜를 본 산업 중 하나입니다. 특히, 미국, EU 등 주요 시장으로의 수출이 크게 증가했고, 스마트폰, 반도체 등 전자 제품은 우리나라의 주력 수출 품목이며, FTA 체결을 통해 아시아, 유럽 등 다양한 지역으로의 수출이 확대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