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도소득세 이미지
양도소득세세금·세무
양도소득세 이미지
양도소득세세금·세무
지적인비쿠냐24
지적인비쿠냐2423.05.26

이미 빌린 돈이 있을 때, 증여 받을 때는?

친정엄마께 토탈 5800만원을 빌렸어요.

차용증은 쓰지 않았고, 남편 통장으로 여러번에 걸쳐서 빌렸거든요.

최근에 엄마가 증여를 해주신다고 하는데, 이 빌린 돈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일단 엄마가 저에게 5천만원 남편에게 1천만원을 통장으로 보내주시고, 이건 증여신고 하고...

다시 엄마에게 돈을 갚는 명목으로 5,800을 은행으로 부치면 다 해결이 되는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문용현 세무사입니다.

    이번에 이체받는 금액의 계좌이체내역만 첨부하여 증여세 신고를 잘 하시고, 과거에 빌린 금액은 잘 상환하시면 문제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광교세무법인 삼성지점 이용연 세무사입니다.

    자녀 등이 부모에게서 자금을 차입하는 것과 증여받는 것은 별개의 사안입니다.

    1) 자녀가 부모로부터 자금을 무이자로 차입한 경우 : 자녀가 부모로부터 차입액

    금액 누계가 2.17억원 이하인 경우 무이자로 자입하고 이자를 지급하지 않아도

    세법상 증여세 과세대상이 되지 않습니다.

    이 경우 금전소비대차계약서, 계좌 대 계좌로 입금, 향후 자녀가 부모 계좌로 해당

    차입금을 변제 해야 하며, 변제시 자녀 본인의 재산, 소득으로 변제해야 합니다.

    2) 자녀가 부모로부터 자금을 증여받는 경우 : 자녀는 해당 자금을 증여받은 날로부터

    3개월이 되는 날이 속하는 달의 말알까지 재산을 증여받는 자녀의 주소지 관할세무서에

    증여세 신고 납부를 해야 합니다.

    이 경우 부모로부터 자금을 차입한 것과 별개로 증여받은 자금이 됨으로 증여세 신고 납부를

    해야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된 경우 "좋아요 + 추천"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