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비둘기
비둘기23.03.01

조선시대 실학이 대두하게 된것을 어떤 계기 혹은사건으로 인해서인가요?

조선시대하면 대표적인 학문이 성리학일텐데요 어느순간 성리학을 비판하며 실학이 대두하게 됩니다.

성리학의 뜬구름 잡는 이론과 사상이 도움이 되지 않는디라는 전제로 등장한것으로 아는데요

이렇게 실학이 등장하게된 결정적 계기나 사건이 있었다고 예측되는데 어떤것인지 질문드려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실학이라고 함은 경직된 학문체계에 대한 반발로 실사구시란 것과 이용후생이라는 것을 표방하는 비판적*실천적 학문사상이라고 할수있죠. 임진왜란에 이은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으로 인해 정치적 경제적으로 나라가 매우 파탄이 나버리고 겉만 중요시 하고 속빈 강정인양 점점 노쇠화되어가는 성리학과 청의 실증적 고증학의 영향으로 형식적 주자학에 회의를 느끼고 결국 몇몇 생각있는 학자들의 새로운 학문정신의 추구했습니다.

    그리고 그 당시 청을 통하여 서양문물이 조금씩 흘러들어오게 되고 그런 배경에서 의식이 확대되고 영조와 정조시대에 학문장려로 인한 여러 학자들이 생겨남에 따라 이러한 배경이 자연스레 떠오르게 됩니다.

    성리학이 첨엔 좋았으나 나중으로 갈수록 점점 실사구시에 조금은 가까운 주기론 보다는 이치에 충실하는 주리론으로 가고 결국 이 껍데기만 남아서 대의명분따위나 예학.보학으로 발전되어 가문유지와 국가체제유지에만 급급해져 버린 상태에서 고통받는 백성들을 보며 뭔가 새롭게 떠오른 학문 정도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대략 실학이 처음 형성된 배경은 인조반정 이후정도로 볼수있겠고

    16세기와 17세기사이에 정여립. 정인홍, 한백겸, 김육, 이수광 정도의 사람이 선구자 역할을 한다고 할수 있겠죠..17세기가 넘으면서 님도 아시는 중농학파와 중상학파로 발전하여 19세기 중반까지 가게 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실학 형성의 역사적 배경은 조선

    내부에서 추진된 각종 개혁의 전개와

    서양으로부터 자연과학의 전래였다.

    개혁의 전개는 토지제도 및 군신관계와 같은 제도의 개혁과 상공업의 진흥 및

    기술개발을 촉진했고, 자연과학의

    전래는 천문학과 지리학의 발전을

    자극하여 여기서 실학이 성립하게

    된 것이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전기의 학문은 성리학을 중심으로 하였는데 당시 학자들은 벼슬을 하면서 학문을 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었고 이들 학자들은 성리학에 열중한 나머지 성리학만이 옳고 그 밖의 다른 학문은 모두 그르다는 생각을 가지고있었습니다.

    그래서 불교, 양명학, 기술학을 배척하였고 자유로운 학문 활동을 억눌렀으며 현실의 어려움을 타개해 나가는데 도움을 주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일부의 학자들은 이론에만 치우치는 성리학을 비판하고 나라와 백성의 살림을 부강하게 하는 데 기여할수 있는 실용적인 학문, 즉 실학에 눈을 돌리기 시작했고, 성리학에 대한 반성과 사회를 개혁하고자 하는 움직임 속에 실학 운동이 전개되는 동안, 서양의 학문과 기술에 관심을 가지고 이를 학문적으로 연구하려는 서학도 나타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실학 - 우리역사넷
    http://contents.history.go.kr › mobile › view

    정약용과 실학을 민족적, 민중적, 실용적 학풍으로 규정하였을 때, 조선 시대의 지배적 사상이었던 주자학은 실학의 반대점에서 반민족적, 반민중적, 반실용적 학풍 될 ..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실학은 17~18세기의 사회 경제적 변동에 따른 사회 모순에 직면하여 그 해결책을 구상하는 과정에서 대두한 학문과 사회 개혁론이었다고 합니다.17세기 이후 신분제가 해체되면서 상공업이 발달하고, 지주제의 발달에 의한 농민 분해가 급속히 진행되었습니다. 이같은 변화에 대응하여 성리학의 한계를 비판하고, 합리적, 현실적, 실천적인 학문을 탐구하는 새로운 학풍이 발생하였다고 합니다. 경학에서는 고증학적 방법에 의한 고문연구와 경전, 유교 개념의 재해석이 이루어졌으며, 지리, 군사, 의학, 자연, 과학, 농학 등에서 새로운 방법론과 업적이 속출했다. 이중 일련의 지식인들은 전통사회의 모순과 한계를 비판하고 토지제도와 신분제를 비롯하여 국가체제 전반을 개혁함으로써 사회발전과 부국강병을 이룩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