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문학

화려하게 부활한 설표
화려하게 부활한 설표

시에서 말하는 시적화자와 시인을 구분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현대시에서는 말하는 사람을 시적화자라고 하는데요~ 그런데 시인과 시적화자를 구분하고자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

    시적 화자와 시인을 다른 사람으로 설정하는 이유는 '시의 주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나타내기 위해서' 라고 합니다. 즉 어떨 때는 중년의 시인이 소년의 시작 화자가 되기도 하는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작가와 작중 인물을 구분하는 것은 문학작품감상의 기본입니다

    소설에서 열렬한 나치추종자가 나온다고 작가가 무조건 나치인 것은 아닌 것처럼

    시적화자 또한 시인과 같지 않거나 아예 정반대의 정서를 가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

    시인과 상관없이 시적 화자는 시인의 생각이 투영되었다 하더라도 다르기 때문에 구분합니다. 남성시인이 여성을 주인공으로 여성적 어조로 노래하기도 합니다.

    한용운의 <님의 침묵>에서도 사랑하는 님을 떠나보내늨 여인의 처절한 마음을 표현하였는데 시인이 남자라는 편견없이 시 속의 여성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현대시에서 시적화자와 시인이 무조건 구분되는 것은 아니고 시인이 바로 시적화자인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현대시에서는 대체적으로 시인이 시적화자를 자신과 분리하여 새롭게 창조한 후에 시적화자를 통해 자신이 말하고 싶은 내용을 시에서 이야기합니다. 이렇게 구분하는 이유는 시인 자신의 정체성, 특징 등에 대해 얽매이지 않고 좀 더 자유롭게 시를 창작하기 위한 한 방법일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