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이 관세를 115%p 인하하기로 합의했다는데, 도대체 이러면 가격이 어떻게 된다는 것인가요?
말도 많던 미국과 중국의 관세싸움 종전에는 145% 인상한다고 그러더니 지금은 115%p 인하하기로 합의했다는데, 도대체 이러면 가격이 어떻게 된다는 것인가요? 145%에서 115%를 감액한다는 것인지요?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미중 무역협상을 통해 공동성명을 내고 90일관 관세를 인하하기로 합의하였습니다.
양국은 90일간 상호관세를 115%인하하기로 합의했습니다.
미국의 대중 관세는 30%, 중국의 대미 관세는 10%로 낮아지게 됐습니다.
이 조치는 5월 14일부터 적용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합의에 따라 145%의 관세가 30%수준으로 낮춰지게 되었습니다.(보편관세 + 펜타닐 관세)
이는 기존 인상분에서 115%의 관세가 낮아지게 되는 것이며 수입물품에 대한 가격도 그만큼 내려가게 되는 것입니다. 이에 따라 극단적으로 치닫던 양국간의 관세부과정책이 조금은 해소되어 양국 수입물품에 대한 소비자 가격 부담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최근 미국과 중국은 상호 부과하던 고율의 관세를 115%포인트(p) 인하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이는 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부과하던 관세를 145%에서 30%로, 중국은 미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125%에서 10%로 낮추는 조치입니다.
이러한 관세 인하는 양국 간 무역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수입 제품에 부과되는 세금이 줄어들어 해당 제품의 최종 소비자 가격이 하락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이전에는 100달러짜리 중국산 제품이 미국에서 245달러에 판매되었다면, 이제는 약 130달러에 판매될 수 있습니다. 이는 소비자에게는 가격 인하로, 기업에게는 원가 절감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다만, 이번 합의는 90일간의 일시적인 조치로, 향후 협상 결과에 따라 관세율이 다시 조정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과 소비자는 이 기간 동안의 혜택을 활용하되, 이후의 무역 정책 변화에 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사하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
생각보다 미국과 중국측에서 빠르게 합의가 도출되어 145%가 아닌 10%의 보편관세와 20%의 추가관세하여 총 30%의 관세율이 적용되는 것으로 하였습니다. 따라서, 30%에 품목마다 기본관세율이 있다면 해당 관세율까지 더해지는것으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관세를 115%포인트(p) 인하한다고 할 때는, 기존에 부과하던 관세율에서 절대값 기준으로 115%를 낮춘다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기존 관세율이 145%였다면, 115%p 인하 시 새 관세율은 30%가 됩니다.
이건 145%에서 115%를 빼는 것이지, 145%의 115%를 감액한다는 뜻은 아닙니다. 따라서 관세가 크게 줄어들면서 해당 상품의 수입가격은 전체적으로 크게 낮아질 수 있고, 시장 판매가도 하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미국과 중국이 상호 부과 했던 보복관세율을 포함하여 부과 했던 세율,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에 145%의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은 일부 미국산 제품에 관세 125%를 부과했던 전체 관세율에서 각각 115 %P 를 인하하여 부과하는것으로
미국은 중국산 수입품에 보편 관세 10% + 펜타닐 관세 20% 인 30% , 중국은 미국산 수입품에 10%를 부과하는 것으로 합의 하였고 이는 유예기간을 가진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