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가족·이혼 이미지
가족·이혼법률
가족·이혼 이미지
가족·이혼법률
파란늑대145
파란늑대14523.10.06

상속이 되지 않은 토지에 대해 재산세를 내고 있다면 권리 인정?

할아버지께서 30여년전 갑자기 사망하면서

가지고 계신 토지를 자녀에게 상속하지

못하였습니다

아버지 형제가 워낙 많으시고

걔 중 돌아가신분도 많고 친분과 교류가없어

저는 친인척 얼굴도 모르는 상황입니다


그러던 중 아버지가 몇해전부터

할아버지 명의의 토지재산세를 납부하신것을

알게 되었는데 없는 살림에 쓸데없는 일을

하신다고 타박하였는데


아버지 말씀이 자기 대에는 해결못하니

아버지가 재산세를 납부한 기록이 있으면

저희가 권리를 주장할 수 있지않을까하는

마음에 납부를 한다고 하십니다


아버지 말씀이 일리가 있는건가요?


고지서를 보면 할아버지 성함이 아닌

납세자가 아버지 이름으로 되어있습니다


참고로 28필지나 되네요ㅡㅡ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민경철 변호사입니다.

    사망으로 인해 당연히 상속이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미 할아버지의 재산은 30년 전에 상속인들에게 상속이 이루어진 것입니다.

    따라서 그 재산은 원칙적으로 상속인들이 1/n의 지분으로 소유하므로 아버지가 세금을 냈다고 해서 단독소유 하는 것이 아니며 자신의 지분만큼만 취득하게 됩니다. 상속인들이 땅을 현재 공유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땅을 처분하기 위해서는 전원이 모여서 상속재산분할절차를 거쳐야 할 것입니다.

    재산세의 경우, 상속등기가 이행되지 않고 사실상 소유자가 신고하지 않았을 때는 상속지분이 가장 많은 사람이 재산세를 부담하며, 모두 동일한 경우에는 가장 나이 많은 사람이 부담합니다. 따라서 상속지분이 1/n로 동일하다면 원래는 상속인 중 가장 연장자가 부담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