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성숙한딩고128
성숙한딩고12824.01.14

당뇨 증상에 하루종일 느끼는 허기 , 밤에 서너번씩 소변

나이
65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당뇨
기저질환
당뇨

당뇨 증상에 이런 것들도 있나요???


하루종일 느끼는 허기 (밥 한공기 가득 식사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금방 또 뭔가 먹고싶어서 과일이나 빵 군것질 거리를 계속 찾음 ) , 밤에 서너번씩 소변이 마려워 자다깨서 화장실을 가는 증상


약을 복용 하고 있는대도 이렇다면 혹시 바꾸거나 해야허는 건가요 아니면 당뇨면 그냥 이렇게 계속 쭉 살아야 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병관 의사입니다.


    밤에 소변을 자주 보는건 전립선 비대증을 먼저 고려해봐야겠습니다.


    당뇨라고 그런증상이 일반적인건 아닌데 혈당이 잘 조절되는지 확인해보시고 당이 잘 조절된다면 식단을 바꿔보세요 (현미, 식이섬유 많은 야채 등등. 혈당을 빨리 올리는 군것질을 하면 원래 더 배가 고파집니다)


  • 당뇨를 의심할 수 있는 대표적인 세 가지 증상들은 다음, 다뇨 및 다갈 증상입니다. 말씀하시는 허기가 많이 느껴지고 과식을 하게 되는 증상은 다갈 증상이며, 밤에 서너번씩 소변을 보는 증상은 다뇨 증상일 수 있습니다. 증상이 많이 심하시다면 약물 변경의 소지가 있어 보이며, 정확한 판단은 당뇨로 진료보는 병원에서 새롭게 증상에 대한 설명을 하고 받으셔야 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우선 당뇨라고 하루종일 허기를 느끼는건 아닙니다.

    당뇨의 특징은 인슐린이 나오지 않던 인슐린 내성이 생겼던 결국 인슐린의 작용이 떨어지는거고 이로 인해서 식사를 통해 위장관에서 흡수되어 혈관으로 들어온 당분이 세포에 저장되지 못하는겁니다.

    이로인해서 두가지 문제가 발생합니다. 식사후 얼마되지 않았을 때는 혈당이 너무 높아집니다. 이때 인슐린이 작용해서 세포로 당분을 넣어야 하는데 이게 안되는거죠. 두번째는 식사후 시간이 많이 지났을 때 혈당이 떨어지고 세포에서 당분을 꺼내서 써야하는데 아까 저장이 되지 못햇으니 꺼내올 당분이 없어서 저혈당에 빠지게됩니다.

    혈당 수치가 높다보니 소변으로 당분이 빠져나가서 먹은 에너지를 다 사용하지 못하고 소변으로 내보내버리는거죠.

    당뇨에서 배가 고픈건 이 저혈당 상황에서입니다. 밥을 먹자마자 배가 고프다 이건 당뇨때문에 생기는 증상으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당뇨약을 먹는데 이게 용량이 너무 많아서 저혈당을 자꾸 유발해서 배고픔이 생길수는 있겠습니다.

    밤에 소변을 보는건 있을 수 있는 증상입니다. 혈당이 높아지면 이를 희석시키기 위해 뇌에서 목마름을 느끼게 되고 물을 많이 마시면 결국 소변을 자주 보게 됩니다. 당뇨 치료를 잘해서 혈당이 잘 조절된다면 해결될 수 있겠으며 자기전에는 참을 수 있는 선에서는 목마를 때 물을 조금만 먹어주시는게 도움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전형적인 당뇨의 증상입니다.

    당뇨는 수십년 간 진행되어 발현되는 질병이기 때문에 약을 복용한다고 바로 좋아지지 않습니다.

    우선 꾸준히 약 복용을 하시며 당뇨를 관리받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하루 종일 지속되는 허기와 밤에 자주 소변을 보는 것은 당뇨병의 일반적인 증상 중 일부일 수 있습니다.

    당뇨병 환자는 혈당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세포가 충분한 에너지를 얻지 못할 수 있습니다. 이는 인슐린 저항성이나 췌장의 인슐린 생산 감소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몸은 에너지 부족 상태에 있다고 느끼며, 이는 지속적인 허기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높은 혈당 수치는 신장으로 필터링되면서 물을 끌어들여 소변의 양을 증가시킵니다. 이로 인해 환자는 자주 소변을 보게 됩니다, 특히 밤에 자주 화장실을 가게 되는 '야간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현재 약물을 복용하고 있음에도 이러한 증상이 지속된다면, 혈당이 잘 조절되고 있는지를 확인하시는것이 가장 우선입니다. 담당 주치의와 현재의 증상에 대해 상의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