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도도한고양이240
도도한고양이240
22.11.08

육아후 개인시간 보통 얼마나 가지세요??

안녕하세요 41개월 만 3세 아이를 키우는 직장남입니다.

나이가 어느덧 40이 눈앞인데요..

퇴근후 아내를 도고자 아이와 노는시간 목욕 잠자기까지 80프로는 제가 아이와 함께 합니다. 아이가 9시에 자러들어가도 빨리 잠들지못하고 10시~10시반 쯤 잠드는데요.. 이후에 저의 개인시간이 시작됩니다. 뭐 딱히 중요한걸 하는건 아니구요. 모바일게임도 좀 하고 웹툰도보고 유툽도 보고.. 그러다보면 12시가 늘 넘어서 보통 평균 1시에서 2시 사이에 잠이듭니다. 이걸 몇년을 하다보니 서서히 몸이 고장나는 신호가 오네요..

그런데도 참 이게 습관이 돼버려서 빨리 잠드는게 쉽지가 않네요... 육아하시는 분들.. 어떻게 현명하게 대처하시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오형근 보육교사blue-check
    오형근 보육교사
    22.11.08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대부분이 질문자님과 같은 생활을 하고 계십니다....퇴근후 아이와 함께하는 시간, 집안 일 후에 22시 부터 개인 시간을 가지고 24시 내외에 잠자리에 들고는 하죠... 아이가 초등학교 고학년까지 사실 어쩔 수없는 부분 같습니다...

    그래서 육아는 체력싸움이라고 하는거 같기도 하구요... 힘내세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매일 꾸준히 운동을 해주는것이 좋습니다

    육아의 경우 체력이 중요합니다

    매일 이러한 생활이 계속되면 스트레스도 클수있기에

    운동을 하면서 이런 부분에 조금 대처할만한 힘을 기르는것이 좋으며

    가능하면 12시이전에는 취침해주시는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건강을 위해서 늦은 시간이라도, 하루 30분 정도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는 게 좋을 것 같아요.

    먼 곳 보다는 집 앞 놀이터 에서라도 운동을 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영양제의 도움을 받은 것도 좋습니다

    종합영양제나 홍삼 등을 전문의와 상의후 드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육아를 하시다보면 개인시간이 정말 나지 않습니다.

    이에 아이를 재우고 밤 늦게 본인의 시간을 가지시는 분들이 있습니다만

    아무래도 늦게 주무시면 건강이 상당이 악화되어 일과 육아 모두에 지장을 주므로

    배우자 분과 상의한 후, 서로 개인시간을 조율하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육아는 쉬운것이 아닙니다. 대부분 아이가 자고 나면 그때부터

    부모의 개인시간이지만 이시간에 밀렸던 가사일이나 빨래등을 하고 나면

    시간이 더 부족하기 마련입니다.

    새벽시간대까지 개인시간을 활용한다면 잠을 자지 못하여 피곤이 더 심해질 것입니다.

    가급적 개인 시간을 줄이시고 수면시간을 늘리는 것을 권합니다.

    아이들이 점점 성장하면서 시간이 더 생길 것이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모두 비슷하겠지만

    평일 밤에는 다음날 출근때문에

    주말에는 아이들이 어린이집에 가지않기때문에

    쉽지가 않습니다 길어야 1시간 정도??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개인시간을 갖고 싶어도

    출근을 해야하기 때문에

    많이는 못갖는 편입니다

    그나마 주말에 조금 번갈아가면서 쉬고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