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굳센때까치29
굳센때까치2923.11.02

백혈병은 어떤 방식으로 치료하나요?

나이
35
성별
남성
백혈병의 원인은 무엇이고, 어떤 증상을 보이나요? 그런 백혈병의 치료 방법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또 백혈병에 대한 연구나 현재의 치료 방향은 어떻게 되고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병관 의사입니다.


    백혈병은 특정한 원인으로 골수에서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되는 미성숙백혈들이 많아집니다. 항암치료나 저혈모세포이식등으로 치료해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백혈병은 혈액암의 일종입니다.

    백혈구를 만들어내는 골수의 조혈세포에 암이 생기면서 엉터리 백혈구들을 만들어내게 되고 이로 인해서 정상적인 면역작용을 못하게 되는겁니다.

    백혈병도 굉장히 다양한 타입이 있고 마다 증상이 다르지만 면역력이 떨어지면서 잦은 감염이 생길 수 있으며 백혈구 이외에도 적혈구, 혈소판 형성에도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빈혈로 인한 어지러움이나 혈액응고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암세포를 죽이기 위한 항암치료가 주가되고있고 골수이식도 시행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백혈병은 암세포의 발생 부위와 질병의 발전 속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뉩니다. 암세포가 골수에서 발생하면 이를 골수성 백혈병이라 하며, 림프계에서 발생하였다면 림프구성 백혈병으로 분류합니다. 급격히 악화되는 경우 급성 백혈병으로, 서서히 진행하는 경우 만성 백혈병으로 진단됩니다. 이 질환으로 인해 정상적인 혈구 생성이 억제되고, 이는 다양한 증상을 초래합니다. 정상적인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의 감소로 인해 감염에 쉽게 노출되며, 빈혈과 출혈 경향이 나타납니다. 일반적으로 환자들은 발열, 전신 쇠약, 빠른 피로감, 체중 감소와 같은 전신적 증상을 경험합니다. 만약 백혈구가 특정 장기로 퍼진 경우, 뼈 통증, 잇몸의 부풀어 오름, 간과 비장의 비대 등을 겪을 수 있으며,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미치면 오심, 구토, 경련 또는 신경 마비와 같은 심각한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백혈병 치료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방법은 항암화학요법이며, 이는 환자의 상태나 백혈병의 유형, 그리고 질병의 발전 단계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급성 백혈병의 경우 처음에는 관해 유도 요법을 시도하여 골수에서 백혈병 세포를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이 과정에서 정상 세포 역시 손상을 입게 됩니다. 이로 인해 감염에 대한 예방 조치와 함께 수혈이 필요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더불어 빠르게 분열하는 세포들이 영향을 받아 점막염이나 설사, 탈모와 같은 부작용을 겪을 수도 있습니다.

    만성 백혈병은 급성 백혈병과는 치료 방식이 다릅니다. 만성 골수성 백혈병은 특히 필라델피아 염색체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이는 만성기부터 급성기까지 다양한 단계로 나뉩니다. 치료에는 글리벡과 같은 경구 약물, 인터페론 주사, 혹은 조혈모세포 이식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글리벡이 효과적인 경우가 많으나, 내성 발생 시 더 강력한 2세대 약물로의 전환을 고려해야 합니다. 환자의 상태와 질병의 진행에 따라 이식과 같은 더 적극적인 치료 방법을 고려하기도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추가적인 질문은 아래 댓글로 남겨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