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성숙한카멜레온23
성숙한카멜레온2323.06.15

수출시에 냉장 / 냉동 / 일반 의 비용차이가 얼마나 되는지요?

수출시에 냉장/ 냉동/ 일반 컨테이너의 비용 차이가 얼마나 되는지요?

특정국가를 기준으로 설명해주셔도 됩니다.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현재 아래와 같이 부산 - 미국 롱비치(서부)로 일반 컨테이너를 빠르게 선적하는 경우에는 약 1만불정도의 비용이 소요됩니다.

    냉장, 냉동컨테이너의 경우 약 1천불~1천 5백불정도의 비용이 추가로 발생함을 알 수 있습니다.

    다만, 이는 실제 포워더에게 견적을 받은 것이 아니기에 이러한 부분은 직접 견적을 통하여 차이를 확인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하며, 도움이 되신 경우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신선농산물 등은 대부분 냉장·냉동 컨테이너를 통해 수출하여야 하며, 일반적으로는 일반 컨테이너보다 운임이 1.5~2배 더 높게 책정되고 있습니다.

    북유럽에서 아시아항로 운임동향의 경우 아래와 같이 약2배에서 3배까지도 차이가 있기도 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1.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종류에는 1)드라이컨테이너(DRY CONTAINER, DC) : 공산품 등 일반화물운송, 2)냉동컨테이너(REEFER CONTAINER, RF) : 냉각기가 가동되어 냉장 및 냉동기능이 가능하고 일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해야 하는 식품, 농수산물, 축산물, 의약품 등 운송, 3)오픈탑컨테이너(OPEN TOP CONTAINER, OT) : 천장이 개방된 컨테이너로 높이가 불규칙한 화물운송, 4)플랫랙 컨테이너(FLAT RACK CONTAINER, FR) : 컨테이너 천장과 양쪽 사이트 벽이 제거된 컨테이너로 크레인, 트럭 등 중량화물운송, 5) 탱크 컨테이너(TANK CONTAINER, TC) : 유류, 화학제품, 주류, 위험물, 독극물 등 액체화물운송, 6)행거 컨테이너(HANGER CONTAINER, HG) : 컨테이너안에 옷걸이 행거가 설치되어 실크, 밍크, 가죽 등 고급의류 운송

    2. 컨테이너 화물은 정기선 이용시 정기선 운임은 해운동맹에서 산정한 운임율표(Freight Tariff)가 견적의 바탕이 되며, 최종 견적 금액은 기본 운임(Ocean Freight)에 각종 할증료(Surcharge)와 추가운임(Additional Charge)이 더해집니다.

    1) 기본운임의 분류 : 기본 운임을 지불 시기에 따라 선불운임(Freight Prepaid), 후불운임(Freight Collect)이 있고, 운임은 무게를 기준으로 책정하는지, 부피를 기준으로 책정하는지 등 다른 기준에 따라 산정될 수 있습니다.

    가) 종가운임(Ad-Valorem Value) : 종가운임은 화물의 금액을 기초로 해상 운송 금액을 결정하는 것으로 귀금속 등의 고가 물품에 사용, 나) 최저운임(Minimum Freight) : 최저운임은 일정 기준 이하의 부피(용적)와 무게이더라도 미리 설정한 최소 금액을 부과, 다)품목 무차별 운임(Freight All Kinds Rate) : 품목 무차별 운임은 컨테이너를 기준으로 일괄적으로 부과되는 운임, 라) 차별운임(Discriminatory Rate) : 차별운임은 Freight All Kinds Rate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화주, 장소, 화물에 따라 운임이 차별적으로 변동됨, 마) 운임톤(Revenue Ton) : 운임톤은 무게와 부피를 비교해 둘 중 더 큰 쪽으로 금액을 부과하는 것이며, 그 밖에도 품목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는 품목별 운임(Commodity Rate), 기간과 화물의 양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는 기간별 물량별 운임(Time Volume Rate), 컨테이너를 기준으로 산정되는 박스 운임(Box Rate) 등이 있습니다.

    2) 정기선 운임 할증료 종류 : 가) 유류할증료(BAF: Bunker Adjustment Factor) : 유류할증료는 꼭 화물 운송이 아니라 개인적으로 항공기 예약을 할 때도 볼 수 있고, 벙커유 금액 변동에 따라 할증되는 요금, 나) 통화할증료(CAF: Currency Adjustment Factor) : 운임을 결제할 때 사용하는 통화의 환율에 따라 할증되는 요금, 다) 체선할증료(Congestion Surcharge), 체화할증료(Port Congestion Surcharge) : 체선할증료는 항구가 복잡해 양륙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때(오래 정박해야 할 때), 체화할증료는 항구에 배가 많아 정박하기 힘들 때(선박 가동률 하락) 추가로 부과됨, 라) 환적할증료(Transhipment Charge), 양륙항 추가운임(Optional Charge) : 환적할증료는 환적을 요청할 경우 그에 따른 추가비용을, 양륙항 추가운임은 양륙항이 하나가 아닐 경우 추가되는 비용 입니다.

    3) 기타 추가 운임의 종류 : 가) 터미널화물처리비(THC: Terminal Handling Charge) : 터미널 입고부터 전반적인 핸들링 비용, 나) CFS 작업료(CFS Charge) : LCL화물의 경우 CFS에서 혼적하는 비용, 다) 서류발급비(D/F: Document Fee) : 선사나 포워더가 서류를 발급하는 작업 수수료로, D/O(Delivery Order Charge) Charge라고 표시하기도 함, 라) 창고사용료(Warehouse Charge) : 보세창고를 이용할 경우 사용하는 창고비로, LCL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음.

    3. 우리나라도 2022년 11월 7일부터 한국해양진흥공사(www.kobc.or.kr)에서 우리나라에 맞는 컨테이너 해상운임지수(Kobc Container Composite Index, KCCI)를 매주 월요일 14시에 공사 홈페이지에 발표하고 있으며, PORT-MIS 해상운임 공표제 25%(부산항을 기항하는 국적, 외국적 선사 전체)와 패널리스트 75%(국내 주요물류기업 10개사)를 제공하고 있으며, KCCI 지수 자체는 13개 세부항로에 가중치를 두어서 지수로 발표하고 전세계 컨테이너운송비용 평균가격으로 참고하여 활용할 수 있습니다.

    4. 또한 온라인 수출입물류 플랫폼 (주)트레드링스 회사의 홈페이지(www.tradlinx.com)에서 운임공표제에 근거한 선사고지 운임으로참고용 자료로 활용하고 실제 운송진행시에는 선사와 해상운송계약시 차이가 발생할 수 있는데, 2022. 12. 16.자 우리나라 천경해운 선사가 고지한 부산항에서 중국 대련항 기준으로 운송부대비용(할증료, 추가비용)을 제외하고 순수한 기본 해상운임(O/F) 기준으로 20피트 컨테이너 1개당 드라이 일반화물 미화 50불, 탱크 위험화물 미화 100불, 리퍼 냉동냉장화물 미화 500불로 고지되어 있습니다. 이처럼 리퍼 냉장냉동 컨테이너는 냉각기가 가동되어 냉장 및 냉동기능이 가능하여일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해야 하는 전기를 사용해야 하는 관계로 통상 드라이 일반화물 컨테이너보다 1.2배 가량 운임이 비싸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트레드링스의 컨테이너 해상운임 조회결과 20피트 컨테이너의 경우 일반 400~600달러정도의 운임이 나오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에 반해 냉동냉장화물의 경우 일반적으로 1,000달러를 넘는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이는 해상운임 등에 대한 내용이고, 선적시기 선적량, 어떠한 포워딩사를 이용하는지에 따라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tradlinx.com/container-freight-rate-tariff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