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2.21

경제에서 국민소득 3면 등가의 법칙이 무슨 말인가요?

국민소득이 한 국가에 있는 가계, 기업, 정부등 모든 경제주체가 일정기간에 새로 생산한 재화나 서비스가치를 금액으로 평가하여 더한 총합이라고 하던데요. 궁금한게 경제에서 국민소득 3면등가의 법칙이라는 말을 들었는데 무슨뜻인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Slow but steady
    Slow but steady23.12.21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국민소득 3면 등가의 법칙은 한 국가의 소득을 생산, 지출, 그리고 분배의 세 가지 관점에서 바라보았을 때, 이 세 가지 생산, 지출, 분배가 항상 같다는 원칙을 말합니다. 한 나라의 경제를 이해하려면 국민소득에 대한 통찰이 필수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민소득은 생산ㆍ지출ㆍ분배의 세 가지 측면에서 파악할 수 있고, 각각의 측면에서 국민소득의 양은 결과적으로 모두 같아지는데 이러한 항등관계를 '국민소득 3면 등가의 법칙'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민소득의 3면 등가의 법칙이라고 하는 것은 국민 소득은 [생산, 분배, 지출]중 어떤 측면으로 측정하게 되더라도 항상 동일한 결과값이 도출되는 것을 가리키는 단어에요.


  • 안녕하세요. 김영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민소득 3면 등가의 법칙은 총생산=총소득=총지출로

    전국적인 측면으로 보았을 때, 생산된 모든 상품의 가치(총생산)가 경제적 모든 구성원인 가계, 기업, 정부, 해외가 구매하면서 발생한 지출(총 지출)과 같으며 이로 인해 벌어들인 금액은 전국민에게 배분(총소득)이 된다는 의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민소득의 세 가지인 생산, 분배, 지출이 크기가 같은 것은 국민소득 3면 등가의 법칙이라고 합니다.

    쉽게 말해, 국민소득은 만들어 나누어 가지고 쓰는 양이 모두 같게 되는 현상으로, 국민소득이 생산·분배·지출 과정을 통해 순환하기 때문에 세 가지 국민소득의 크기가 똑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철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민소득 3면 등가의 법칙 국민소득 3면 등가의 법칙은 국민소득의 세 가지 구성 요소인 생산, 소비, 투자가 언제나 동일하다는 법칙입니다.


    국민소득 3면 등가의 법칙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습니다.

    생산된 모든 상품과 서비스는 소비되거나 투자되거나 정부에 의해 지출됩니다.

    소비, 투자, 정부 지출은 언제나 동일합니다.


    국민소득 3면 등가의 법칙은 경제가 균형 상태에 있을 때 성립합니다. 경제가 균형 상태에 있을 때는 생산된 모든 상품과 서비스가 소비되거나 투자되거나 정부에 의해 지출됩니다. 따라서 소비, 투자, 정부 지출은 언제나 동일합니다.




  •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만약 한나라가 무언가를 100만큼 생산했다면, 누군가의 노력을 100만큼 생산했을 텐데 이건 곧 그 사람의 소득이되고, 또 생산된 100만큼 지출이 되어 소비가 됩니다.

    총생산, 총지출, 총소득인데 이거는 결국 항상 동일하다는 것이고 이걸 국민소득 3면 등가의 법칙이라 말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민소득은 생산, 분배, 지출의 세 가지 측면 중 어느 부문에서 측정하더라도 항상 동일한데, 이를 가리켜 국민소득 3면 등가의 법칙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민소득의 3면 등가의 법칙이란 기본적으로 GDP 측정에 있어서 성립되는 법칙을 의미합니다.

    GDP는 생산, 분배, 지출 등 3가지 측면을 통해서 측정하게 되는데, 이 3가지 측면에서 측정된 GDP를

    생산국민소득, 분배국민소득, 그리고 지출국민소득이라 부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