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플리한라이트머스
플리한라이트머스

아이의 편식이 고쳐지지 않는다면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아이가 채소류(특히 당근,시금치,파,양파)는 질색을 하고 잘 먹지를 않네요. 1년에 한두번 먹은거면 많이 먹은건데요. 아이의 편식은 어찌해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편식이 고쳐지지 않을 때 어떻게 해야 하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식습관 개선을 위한 교육을 해주는게 좋겠습니다.

    따라서 먼저 아이와 영양교육 관련 그림책이나 동영상을 이용해서 교육을 실시한 다음 자연스럽게 이야기를 나눕니다.

    식습관 개선을 위한 그림책은 식습관 시리즈(천개의 바람), 사계절은 맛있어, 백설공주는 먹는 것도 달라, 남길까? 먹을까?, 푸메, 꾸메와 함께 식당에 가요(상상스쿨) 등이 있습니다.

    그렇게 하면 이전보다는 동기부여가 될 것입니다.

    그리고 야채나 과일, 다양한 재료 등을 이용해서 요리활동을 해보는 것도 도움이 되겠습니다.

    요즘은 시중에 파는 새싹채소, 버섯, 콩나물기르기 키트 등을 구입할 수 있습니다.

    아이와 함께 채소를 재배하는 것으로도 식습관 개선에 효과가 있습니다.

    아이가 먹지 않더라도 요리활동 등을 통해서 먹어볼 수 있도록 경험시켜 주는 것이

    성인이 되었을 때 식습관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대부분의 어린 아이들이 채소를 싫어 하고 먹지 않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성인의 경우에도 야채를 싫어하고

    육류나 인스턴트 음식을 즐겨 먹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우선 아이들이 채소를 잘 먹기 위해서는 부모님도 항상 채소를 즐겨 먹는 모습을 보여 주는 것이 좋습니다

    부모님이 채소에 대한 편식이 있는 경우 자녀들도 거의 채소는 먹지 않는 모습을 보입니다

    아이가 채소를 잘 먹기를 바란 다면 부모님 부터 채소가 건강 하고 맛있다는 것을 보여 주는 것이 좋아요

    물에 빠진 채소는 잘 먹지 않으니 튀김을 해주면 어느 정도는 먹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의 편식이 고쳐지지 않는 이유는 잘못된 식습관에 관한 지도가 형성되지 않아서 입니다.

    아이의 식습관 교육은 밥상머리 교육으로 부터 시작을 하면 좋을 것 같아요.

    식사시간에 밥상머리 교육을 해주는 것이 좋겠는데요.

    아이가 편식을 하면 그 즉시 단호하게 편식을 하는 습관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고, 왜 편식을 하는 습관이 옳지 않은지 그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설명을 해주세요.

    편식을 함으로써 우리 건강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무엇인지를 영상을 함께 보면서 이야기를 나누어 보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아이가 편식하는 야채와 채소를 활용하여 다양한 음식을 만들어서 제공해 주는 것도 도움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와 함께 음식을 만들고, 음식 준비를 함께 해보세요

    아이들은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음식에 흥미를 느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좋아하는 음식 속에 채소류를 섞어서 주시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평소에 편식에 관련된 이야기 책도 많이 읽어 주세요.

  •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에게 채소를 다양한 요리로 제공하고, 함께 요리하는 시간을 가지세요. 조금씩 시도하다보면 좋은 결과 있을거에요.

  •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에게 채소를 재미있게 소개하고, 함께 요리하면서 흥미를 유도하세요. 또 다양한 조리면으로 맛을 변화를 주어 조금씩 시도하게 해보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음식에 대한 긍정적인 대화를 나누며 부모가 다양한 음식을 먹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한번에 많은 변화를 기대하기보다 소량씩 시도하며 아이가 음식에 익숙해지도록 도와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편식을 고치기 어려울 때는 강요하기보다 긍정적인 방식으로 접근하는 것이 좋습니다. 새로운 음식을 즐겁게 경험할 수 있도록 요리 과정에 아이를 참여시키면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채소를 다양한 방법으로 조리해보고 재미있게 플레이팅하세요. 함께 요리하면서 식사에 참여하도록 유도하고, 긍정적인 보상을 통해 자연스럽게 채소를 시도해보세요.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걱정이 많으시죠. 심하게 편식을 하고있는 경우에는 몇 가지 방법이 있는데요. 먼저 부모님들의 식습관을 바꿔야 아이들도 바뀝니다. 한식탁에서 요리를 함께 먹기 때문에 부모님의 식성을 아이들이 많이 따라가게 됩니다. 그리고 또한 아이들이 식사에 사용되는 야채(키우기쉬운야 채)를 키워서 먹게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직접 제배해서 먹을 수 있기 때문이죠. 마지막으로는 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신것처럼 요리 과정에 직접 참여해볼 수 있도록 하면 자기가 만든 음식이라는것 때문에 훨씬 더 잘 먹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