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활달한거북이38
활달한거북이3824.01.07

원하는 것을 해주지 않으면 소리를 지르는데, 어떻게 훈육을 해야 할까요?

5살 여자 아이입니다.

본인의 의사를 표현하면서,

뭔가를 요구하는데요~~!! 아이가 원하는 것대로 해 주지 않으면

소리를 지릅니다. 밖에 외출을 할 때도 그렇고, 그 행동이 반복되는데요~!!

고치기 위해 어떻게 훈육을 해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5세경의 아이라면 대화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는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소리를 질러서 본인이 원하는 것을 가질수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하니 아이의 생각을 바꿔 주셔야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4.01.07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원하는 것이 되지 않을 때 소리를 지르니 당황스럽기도 하고 걱정이 되겠습니다.

    아이가 떼를 쓸 때는 어떤 대화를 하려고 해도 말이 통하지 않을 것입니다.

    따라서 아이가 조금 안정이 될 때까지 기다립니다.

    떼를 쓰고 우는 행동에 반응을 해주다보면 그 행동이 강화가 될 수도 있습니다.

    아이가 안정이 되고 나면 아이의 마음을 읽어줍니다.

    먼저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상대방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다음부터는 원하는게 있을 때는 울거나 고집을 피우지 말고, 직접 말로 표현했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소리를 지를땐 안돼 라고 단호하게 말해주고 기다려주시는것이 좋습니다.

    기다려주면서 스스로 할수없다는것을 인지하게 해주시면 점차 좋아질수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소리를 지른다고 원하는것을 다 얻을 수 있는게 아니란걸 확실히 보여주셔야 아이가 버릇이 되지 않을겁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그냥두세요

    소리지르다 스스로진정될겁니다

    그뒤에잘못된걸훈육하시면좋겠네요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5살 아이들의 경우 아직 감정표현에 있어 언어적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아이에게 감정표현의 방법을 아이

    눈높이로 설명해주시는 것이 좋으며 관련 동영상 등을 보여주시는

    방법도 좋습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백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단호하게 아이에게 말로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말로 표현하는 연습을 시켜주세요.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소리를 지르는 행동을 했을 시에 바로 그 즉시 강하게 훈육을 해야 합니다

    그대로 내버려두면, 아이는 습관적으로 소리 지르는 행동을 반복해서 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린 영아들은 말로 표현이 미숙하기 때문에 자신의 뜻에 맞지 않으면 소리를 지르거나, 물건을 던지는 것으로 의사표현을 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5살은 자신의 의사표현을 말로 충분히 표현할 수 있는 연령이므로, 올바른 의사 표현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하세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원하는 것을 해주지 않는다고 소리를 지르면 그 즉시 아이의 손을 잡고, 아이의 눈을 마주치며 굵은 목소리로 단호하게 소리를 지르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세요.

    왜 소리를 지르는 행동이 옳지 않을지 그 이유에 대한 설명을 정확히 해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더 나아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싶다 라고 한다면 소리를 지르지 않고 조곤조곤 언어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해야 한다 라는 것을 인지시켜 주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소리지르며 원하는 것을 얻으려고 하는 방법적인 문제를 바꿔서 부탁하는 어조로 차분히 말로 표현할때 칭찬해주는게 좋습니다. 때론 계속 소리지를때 무반응으로 일관하는것도 방법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