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강원도의빠워
강원도의빠워

서울의 매매가격 전망지수가 7개월 만에 하락 전환했다고 하는데 이유가 무엇인가요?

KB부동산이 발표한 11월 월간 주택통계에 따르면, 서울의 매매가격 전망지수가 94로 7개월 만에 하락 전환했다고 하는데, 이 하락 전환의 의미와 그 배경에 대해 조금 더 상세히 설명해 주실 수 있나요? 서울의 매매가격 전망지수가 이전에 상승세를 보이다가 100 이하로 떨어지게 된 이유는 무엇이며, 이로 인해 서울 주택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은 아파트공급이 많이 부족하다고 합니다

    25년도에는 입주물량이 그나마 조금있지만 26년도에는 입주물량이 거의 없다고 합니다

    그때부터 오를거라고 예상을 했는데 금리가 내리가전부터 오르기 시작했고 수도권의 새아파트를 매도 하고 서울의 상급지 이동이 많았습니다

    똘똘한 한채를 위해 지금도 새아파트 위주의 상급지이동은 조금씩 되고 있습니다

    가격이 너무오르니 정부정책으로 서울과 수도권의 대출한도를 줄이고 있어서 주춤한 상태이고 거래가 줄어들고 있습니다

    이규제가 풀리면 어떻게 될지 지켜봐야 할거 같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KB부동산의 11월 월간 주택통계에서 서울의 매매가격 전망지수가 94로 하락 전환되었다는 것은 서울 주택 시장에 대한 예상이 부정적으로 바뀌었다는 의미입니다. 매매가격 전망지수는 향후 주택 가격의 변동을 예측하는 지표로, 이 지수가 100을 초과하면 상승 전망을, 100 이하로 떨어지면 하락 전망을 의미합니다. 이번에 지수가 100 이하로 떨어졌다는 것은 서울의 주택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 시각이 확대되었음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수치 변화는 정부의 강력한 대출 규제에서 비롯된 거래의 실종입니다.

    집값안정과 가계대출관리라는 명목하에 실시한 강력한 대출 규제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아무래도 현재 대출규제 강화와 경기침체에 대한 불안감등으로 수요기대감이 떨어지면서 하락한 것으로 볼수 있습니다. 보통 100이하로 떨어질경우 향후 주택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는 의견이 많다고 볼수 있는데, 사실상 심리적인 변화를 반영하는 것이기에 실제 부동산 시장에서 가격이 하락할지는 지켜봐야 합니다. 최근에 정부의 강력한 대출규제에 따라 거래량이 감소화면서 주택구매에 대한 관망세가 커지게 되면서 해당 수치도 하락전환한 것으로 보이긴 하나, 현재 서울에서는 내년도 공급물량이 평균치보다 적고, 금리인하의 가능성이 높은 만큼 대출규제완화 시기에 따라 충분히 반등전환할 가능성도 있으므로 일단은 좀더 지켜봐야 할듯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공인중개사입니다.

    이전에 상승세를 보였던 시장에서 투자자들이 가격 정점에 대한 우려로 매도에 나서면서 수요가 줄어들었습니다.

    매매가격이 하락하면 주택 구매자에게는 기회가 될 수 있지만, 동시에 기존 주택 소유자에게는 자산 가치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주택 시장의 위축은 건설업체와 관련 산업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KB부동산이 발표한 11월 월간 주택통계에 따르면, 서울의 매매가격 전망지수가 94로 7개월 만에 하락 전환했다고 하는데, 이 하락 전환의 의미와 그 배경에 대해 조금 더 상세히 설명해 주실 수 있나요? 서울의 매매가격 전망지수가 이전에 상승세를 보이다가 100 이하로 떨어지게 된 이유는 무엇이며, 이로 인해 서울 주택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 하락 의미 배경으로 우선적으로 기준금리입니다. 미국 기준금리는 인하되었을 당시 국내 부동산 경기는 어느 정도 꿈틀거렸으나 최근 미국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떨어지면서 우리나라 기준금리에도 변동이 없어서 아파트 거래동향에 반영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그러나 기준 금리가 안정 또는 인하된다면 언제든지 부동산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매매가격 전망지수가 7개월만에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보통 100을 초과하면 상승 전망 100이하면 하락을 전망합니다. 서울의 매매가격 전망지수는 94로 100이하여서 하락을 전망한다는 뜻입니다. 이러한 이유가 나오게 된 배경에는 서울과 수도권 중심으로 가격상승이 있었지만 지방의 부동산은 침체를 겪고 있어 집 값 고점 인식이 작동한 것 같고 그 동안 상승에 대한 피로감이 나타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내년 주택 가격도 큰 상승은 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경기 둔화 이슈가 있어서 부동산도 내년에 어려운 상황이 지속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올해 3분기까지 가계부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OECD 국가 중에서도 압도적으로 1위를 기록하며 경제위기의 뇌관으로 부상하였습니다. 이에 정부에서는 스트레스 DSR을 적용하여 대출 한도를 강력하게 제한하였으며, 금융기관을 압박하여 가계대출의 높게 운용하게 하여 가계대출증가를 억제해왔습니다.

    부동산의 경우 대부분 대출을 기반으로 매매하게 되기 때문에 대출이 억제될 경우 부동산 시장은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금번 결과는 정부의 강력한 개인대출 억제 정책에 따른 결과로 해석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