혓바닥의 돌기가, 미각과 밀접한 연관이 있나요?
혓바닥 돌기가 둔해지면, 미각 세포가 죽게 되는건가요? 이로 인해서 맛에 대해 둔감해지고, 쓴맛, 신맛에만 예민하게 반응하게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혜수 영양사입니다.
혀 돌기의 둔화는 미각 세포의 일시적 기능 저하와 연관될 수 있으나, 세포가 완전히 죽는 것은 아니고 재생이 가능하며, 특정 맛만 예민해지는 현상은 사람마다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혀 위에는 여러 종류의 혀 돌기(papillae)가 있는데, 그 중에서 맛봉오리(taste buds)가 있는 돌기가 실제로 미각에 관여합니다.
맛봉오리 안에는 미각 세포(taste receptor cells)가 있어서 단맛, 짠맛, 신맛, 쓴맛, 감칠맛 등 다양한 맛을 감지합니다.
혀 돌기가 둔해졌다는 것은 주로 돌기의 모양 변화나 표면 손상, 혹은 미각 세포 수 감소를 의미할 수 있어요.
하지만 혀 돌기가 둔해진다고 해서 미각 세포가 바로 죽는 것은 아닙니다.
미각 세포는 원래 7~14일 정도 주기로 자연스럽게 재생되기 때문에, 일시적인 자극 둔화나 돌기 손상으로 미각이 일시적으로 둔해질 수 있지만, 세포가 완전히 없어지는 건 아닙니다.
일부 사람들은 혀 일부가 둔해졌을 때 쓴맛과 신맛에 더 민감하게 느껴진다고 보고하기도 하지만, 과학적으로는 특정 맛만 예민해지고 나머지 맛이 둔해진다는 명확한 증거는 부족합니다.
일반적으로 미각 둔화는 전체적인 맛 감지 능력의 감소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요.
다만 신맛이나 쓴맛은 경계 신호를 담당하는 특성이 있어서, 둔감해진 다른 맛에 비해 상대적으로 느껴질 수는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류호연 영양사입니다.
혓바닥 돌기가 미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돌기가 생긴 부위가 미뢰를 자극하여 맛을 느끼는데 어려움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음식의 맛이 예전과 다르게 느껴질 수 있어 미각 변화가 있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예은 영양전문가입니다.
혓바닥의 돌기에는 미각 세포가 모여 있어 미각을 담당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돌기가 손상되거나 둔해지면 미각 세포 기능이 저하되어 맛을 느끼는 능력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다만 특정 맛(쓴맛, 신맛)에만 예민해진다는 과학적 근거는 부족하며, 전반적인 미각 저하가 더 일반적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임원종 영양사입니다.
질문 잘 읽었습니다.
혀의 표면에는 돌기라는 구조가 있으며 그 안에 미각세포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
그래서 돌기자체가 맛을 느끼는 기관은 아니고 미각세포를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답니다. 혀의 돌기는 크게 네 가지가 있다고 합니다. 돌기 종류마다 기능이 다릅니다.
따라서 돌기가 둔해진다고 해서 미각세포가 바로 죽는것은 아닙니다.
그런데 노화, 영양불균형, 흡연, 약물, 구강위생 문제로 미각세포 자체가 줄어들거나 기능이 떨어질 수는 있습니다.
이럴경우 단맛과 짠맛에 둔감해지고 상대적으로 쓴맛, 신맛같은 자극적인 맛만 더 강하게 느껴지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답니다.
정리드리자면
혓바닥의 돌기 변화만으로 미각둔화가 직접 결정되는 것이 아닙니다. 미각세포의 건강과 수명, 그리고 신경전달과정이 더욱 중요하답니다.
하지만 돌기와 미각세포는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니 구강 건강을 유지하고 균형 잡힌 식사를 하는것이 미각 유지에 괜찮을것입니다.
건강한 식생활을 응원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