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리플올인
리플올인23.03.02

옛날 고전시대 말은 왜 지금이랑 다르고 못알아듣나요??

제가 유튜브에서 우리나라 고전시대 말 을 들어봤는데 완전 하나도 못알아듣겠는데

이유가 뭔가요?? 외국어 같기도 하고 중국어 같기도 하고 아리송한데

이유좀 알려주세요!! 한글이 없어서 그런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옛날 고전시대의 말은 지금 사용하는 언어와는 많이 다릅니다. 특히, 중세 이전의 문학 작품들은 서로 다른 지방에서 사용되는 방언이나 구어체로 작성되어 있어서 이해하기 어렵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세종대왕의 위대한 한글이 없었기 때문에 지역 사투리와 여러가지 언어가 혼합되서 쓰여서 알아듣기가 어렵줘


  • 안녕하세요. 김소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예전 우리나라 말과 현대의 우리말은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우선 중세~근대의 국어에는 중국의 성조와 같은 음의 높낮이가 있었습니다. 현대와는 많이 다르게 음의 높낮이가 있었으므로 어색하게 느껴지실 수도 있으십니다.

    또한, 사용하는 단어 역시 현대와는 다른 부분이 많습니다. 예를 들어 중세의 '어리다'는 현재의 '어리석다'라는 뜻이지요.

    더불어 이중모음을 발음하는 방법이 현재와 다른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현재 이중모음 'ㅚ'의 경우 중세 때에는 'ㅗ+ㅣ'(현재의 '오이'와 유사한 발음)로 발음했습니다.

    훈민정음은 조선 전기 세종대왕께서 창제하신 것이므로 그 이전에는 한글이 없었지만, 한국어로 의사소통을 했습니다. 과거와 현재의 발음이 다른 것은 한글의 유무 때문(이는 표기 문제)이 아니라 시대에 따른 변화라고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국 시대의 언어는 지금과 많이 달랐습니다. 당시에는 말은 우리말이지만 워낙 중국어의 영향을 많이 받아서 중국 단어들을 우리 발음 대로 표현 하는 것들이 많았지요. 그리고 글자를 표기 할 때도 훈민 정음이 없었으니 이두 라고 해서 한문 으로 우리말을 발음 나는 대로 표기 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