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 GM ⠀
⠀ GM ⠀24.03.01

전자레인지에 우유를 돌리면 표면에 막이 생기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몸이 좋지 않아서 전자레인지에 우유를 데워먹었는데,

우유에 얇은 막이 생겨 있더라고요.

우유를 데우면 막이 생기는 이유가 뭘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전자레인지에 우유를 데우면 표면에 얇은 막이 생기는 이유는 물 분자들이 열에 의해 빠르게 움직이면서 우유 분자들을 충돌시키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충돌로 인해 우유 분자들이 서로 붙어서 막을 형성하게 됩니다. 이 막은 우유의 표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우유가 더 이상 끓지 않고 표면이 막히면 전자레인지에서 우유를 꺼내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우유의 성분에 따라 막이 생기는 정도가 다를 수 있으며 전자레인지의 세기나 우유의 양에 따라 막이 생기는 속도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유를 데우는 동안 전자레인지를 자주 확인하고 막이 생기면 적절한 시간에 꺼내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유에는 단백질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우유를 끓여서 응고 시킨것이 치즈 이듯이

    전자레인지에 데운 우유가 온도가 높아지면 표면에 단백질이 응고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전자렌지로 우유를 데우게 되면, 우유 표면에 얇은 막이 생기는데, 이것은 우유를 40도 이상 데울 때 표면에 단백질과 지방이 응고되면서 생기는 것입니다. 이 막에는 유당과 미네랄도 조금 들어 있는데, 이는 물보다 가벼운 지방 입자가 표면 위로 떠오르는 현상과 우유의 단백질이 열에 의해 응고되는 현상이 함께 나타난 것입니다. 보기엔 안 좋지만 먹어도 상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전자레인지로 우유를 데우면 표면에 막이 생기는 이유는 우유의 단백질과 지방이 열에 의해 응고되기 때문입니다. 우유를 40도 이상 데우면 우유의 단백질인 카제인이 변성하여 응고되고, 지방 입자 또한 표면으로 떠오르면서 막을 형성합니다. 이 막에는 유당과 미네랄도 조금 포함되어 있습니다. 막은 건강에 해롭지 않지만, 지방 함량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걱정된다면 막을 제거하고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유를 가열하면 단백질과 지방이 응고되면서 하얀 막이 형성된다고 합니다.

    이런 막은 그닥 건강에 좋은건 아닙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