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풍은 한 번 걸리면 완치가 불가능한가요?
통풍은 한 번 걸리면 완치가 불가능한가요? 통풍약을 먹고 요산 수치가 적정하게 유지되고 생활습관도 개선하여 통증이 없는 상태가 오랫동안 유지된다고 하더라도 완치된 건 아닌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통풍은 완치의 개념보다는 관해의 개념이 맞는것 같습니다
요산이 잘 쌓이는 체질상태가 있어서 음식관리 잘 하셔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성훈 의사입니다.
통풍약을 먹고 요산 수치가 적정하게 유지되고 생활습관도 개선하여 통증이 없는 상태가 오랫동안 유지된다면 현재 잘 관리하고 있는 중으로 현 상태를 잘 유지하시길 권합니다.
다시 생활습관이 나빠지고 요산 생성을 높일 수 있는 식이를 할 경우 다시 재발 할 수 있습니다.
교과서적으로는 관해가 되면 약물을 중단해볼수 있습니다.
그러나 제가 직접 진료를 해보고 추적관찰을 해본 결과, 제 개인적으로는 '부작용이 없는한 치료를 지속하는 것이 좋다' 라는 결론입니다.
임상적 관해, 즉 1년 이상 발작이 없고 요산결절도 없는 상태에 도달한 환자라면 치료 중단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렇지 않다면 부작용이 없는 한 계속 요산 저하제를 복용하는 것이 좋다고 봅니다. 요산 저하제를 중단한 후에도 요산 농도가 7 이상으로 올라가지 않는 경우에도 87%의 환자가 5년 내에 통풍 발작을 경험했으며, 요산 농도가 높을수록 발작 확률이 더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부작용이 없으면 요산 저하제를 지속적으로 복용하는 것이 통풍 발작을 예방하는 데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통풍에 대해 궁금하시군요. 통풍은 만성 질환으로 말씀하신 것처럼 완치가 어렵습니다. 하지만 적절한 관리와 치료로 증상을 조절하고 통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장기간 증상 없이 지내는 것을 완치라고 보는 것은 아니라는 의미입니다. 요산 수치를 적정하게 유지하고 증상이 없는 상태가 오랫동안 지속된다고 해도 요산 수치가 다시 높아지면 통풍 발작이 재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꾸준한 관리 및 치료를 통해 요산 수치를 적정한 수준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습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한번 통풍이 있었던 사람은 유전적으로 요산이 쉽게 올라가는 사람이라는 의미입니다.
식단관리 및 필요시 요산을 떨어트리는 약물로 요산수치를 관리하지 않으면 여차하면 다시 요산 수치가 높아지고 관절에 요산 결정이 생길 수 있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평생 관리하시는게 맞습니다.
식단관리와 약물 복용으로 지금 당장 수치가 정상화되었다고 하더라도 언제 다시 높아질지 알 수 없습니다.
통풍은 만성 질환으로 완치보다는 평생 관리가 필요한 병입니다. 통풍약 복용과 생활습관 개선으로 요산 수치가 정상으로 유지되고 증상이 없다고 해도, 약을 끊으면 재발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의사와 상의하여 적절한 약물 용량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요산 수치와 증상에 따라 약물 조절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검진과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완치는 어렵지만, 꾸준한 약물 치료와 생활관리로 정상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성주영 한의사입니다.
통풍은 관리해야하는 대사질환으로 완치가 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요산이 축척되지 않게 식단을 잘 관리하고 올바른 생활습관을 유지한다면 약은 중간에 중단할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