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언제나 당신 편입니다. 사람도 소통하는 것 처럼 동물도 소통을 하는데 나무들은 어떻게 서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을까요?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언제나 당신 편입니다. 사람도 소통하는 것 처럼 동물도 소통을 하는데 나무들은 무엇을로 서로 소통하나요 개미의 경우는 화학 물질이 나온다고 하던데 혹시 나무도 그런건가요? 어떻게 서로에게 신호를 주나요..나무들은 어떻게 서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을까요? 궁금합니다.
보통 식물의 의사소통은 잎이나 가지, 뿌리 등에서 분비한 화학물질이나, 전기신호, 뿌리 등을 통해 이뤄집니다.
즉, 식물은 다양한 화학 물질을 방출하여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거나 다른 식물과 소통하거나, 외부 자극에 반응하여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고 전달하고, 뿌리를 통해 영양분과 정보를 교환하는데, 특히 균근이라는 균류와 공생하여 더 넓은 범위에서 정보를 교환하기도 합니다.
또 최근 연구에서는 식물이 유전자를 직접 주고받으며 정보를 공유한다는 내용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나무들 사이의 의사소통은 인간이나 동물과는 많이 다릅니다. 주로 화학적 신호와 지하에 퍼져 있는 균류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이런 현상을 '우드 와이드 웹(wood wide web)'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생태학에서 매우 중요한 연구 주제 중 하나입니다.
나무들은 화학 물질을 사용하여 서로 의사소통을 합니다. 예컨데, 한 나무가 해충의 공격을 받으면 특정 화학 물질을 방출합니다. 이 화학 물질은 주변의 다른 나무들에게 경고 신호로 작용하여, 그들도 방어 메커니즘을 활성화시켜 해충에 대비하게 됩니다. 이러한 화학 물질은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 VOCs)로, 공기를 통해 전달됩니다.
또 다른 중요한 의사소통 방법은 지하에 존재하는 마이코리자(mycorrhizal) 균류 네트워크를 통한 것입니다. 마이코리자는 나무의 뿌리와 공생 관계를 맺고 있는 균류로, 이 균류들은 나무 사이에 광범위한 네트워크를 형성합니다. 이 네트워크를 통해 나무들은 물, 영양소, 정보를 서로 공유할 수 있습니다. 예컨데, 한 나무가 물이나 영양소가 부족할때, 다른 나무로부터 이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스트레스 신호 같은 정보도 교환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나무들은 물리적인 방법으로도 반응을 보일 수 있습니다. 예컨데, 어떤 나무들은 타 식물과의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자신의 잎을 특정 방향으로 자라게 하거나, 뿌리를 더 깊이 뻗어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택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나무들 사이의 의사소통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그들이 생존하고 번성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생태학과 식물학에서 중요한 발견으로, 많은 과학 저널 및 연구에서 깊이 있게 다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런 내용들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원하신다면 The Hidden Life of Trees와 같은 책을 추천드립니다.안녕하세요.
나무는 단순히 정적인 존재가 아니라, 여러 방식으로 주변 환경과 소통하며 살아가는데요, 나무의 소통방식에는 화학적, 전기적, 기계적(물리적) 신호 전달이 있습니다. 그중 대표적인 소통방식이라고 할 수 있는 화학적 소통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나무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을 방출하거나 뿌리를 통해 화학물질을 교환하며 다른 생물과 소통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서 애벌레가 잎을 갉아먹으면, 나무는 휘발성 물질(예: 자스몬산 유도체)을 방출하여 주변 나무들에게 경고하며, 이를 받은 나무들은 방어 물질(탄닌, 페놀류 등)을 증가시켜 해충을 쫓거나 독성을 높이게 됩니다. 또한 나무는 뿌리를 통해 균근(미코리자) 곰팡이와 영양분을 교환하며, 이 균사를 통해 다른 나무들과 정보를 주고받는데요, 이를 "우드 와이드 웹(Wood Wide Web)"이라고도 부릅니다. 일부 나무는 주변 경쟁자를 방해하기 위해 알레로케미컬(allelopathy, 타감작용 물질)을 분비하여 다른 식물의 성장을 억제하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나무들은 주로 화학 물질을 통해 서로 소통해요
그런데.. .이건도 확실한건 아니고 추론입니다.
이들은 뿌리와 잎을 통해 휘발성 유기 화합물이나 뿌리에 분비되는 화학 물질을 사용하여 주변 나무와 신호를 주고 받는다고 연구되고 있답니다.
나무들은 화학 물질과 뿌리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소통합니다. 주요 방법 중 하나는 화학 신호로, 나무는 잎이 손상되면 공기 중에 특정 화학 물질을 방출해 주변 나무들에게 경고합니다. 이를 받은 나무들은 미리 방어 물질을 생성해 해충이나 질병에 대비할 수 있죠. 또 다른 중요한 소통 방식은 땅속의 균근 네트워크, 즉 우드 와이드 웹을 통해 이뤄집니다. 나무와 균류가 공생하며 영양분과 정보를 교환하고, 병든 나무를 돕거나 자원 분배까지 조절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