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홀짝홀짝마셔봐
홀짝홀짝마셔봐

요즘 결혼을 미루는 가장 큰 이유가 주거비 문제라고 하네요.

20대, 30대 설문조사를 보니 결혼을 미루게 되는 가장 큰 이유가 주거비 문제를 꼽고 있더라구요.

그리고 출산을 미루는 가장 큰 이유 중에 하나도 주거비의 문제를 꼽고 있는데요..

이번 부동산 대책이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까요?

그리고 앞으로 어떤 정책들이 나와야 이런 문제들을 해소할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20대, 30대 설문조사를 보니 결혼을 미루게 되는 가장 큰 이유가 주거비 문제를 꼽고 있더라구요.

    그리고 출산을 미루는 가장 큰 이유 중에 하나도 주거비의 문제를 꼽고 있는데요..

    이번 부동산 대책이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까요?

    그리고 앞으로 어떤 정책들이 나와야 이런 문제들을 해소할 수 있을까요?

    ===> 신혼부부 또는 젊은 층들이 주거난을 해결하고 출산을 유도하기 위해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신혼부부, 신생아 대출 등을 받을 수 있도록 정부에서 여러가지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해결로 인하여 출산율이 많이 증가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젊은세대들이 결혼을 할때 가장 부담되는 것이 주택문제 입니다. 특히 부모님의 도움이 없다면 목돈을 마련하기가 어렵기에 전세대출 등을 통해 주거를 마련하게 되는데, 대출 상환에 많은 돈이 들어가다보면 현실적으로 안정적인 생활을 하기가 힘들기에 어느정도 돈이 모일때까지 결혼을 미루다보면 늦은 나이에 결혼을 하게되는 것입니다. 6.27 대출규제같은 경우에는 이러한 상황에 대한 대책과는 거리가 멀고 단지 고가 주택이 주택가격 폭등을 선도하는 것을 막는 정도에 그치는 효과가 있습니다. 아직 공식적인 정책이 발표되지는 않았지만 기본적으로 이재명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것은 청년 및 신혼부부를 위한 공공임대주택, 대규모 주택 공급 및 재건축 재개발의 규제완화로 주택 공급속도를 빠르게 하는것, 신도시 개발 및 유휴부지 활용 등이 있는데 얼마나 실질적인 공급이 될 수 있는가에 따라서 상황이 달라질 수 있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결혼을 미루는 가장 큰 이유는 주거비 문제가 큽니다.

    따라서 정부에서 신혼부부 공공주택을 많이 펼치고 있으나 역부족인 듯합니다.

    조금 더 합리적인 대책이 나와야할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요즘 20~30대가 결혼과 출산을 미루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로 주거비 부담이 지목되는 것은 매우 현실적인 문제입니다

    실제로 많은 설문조사와 통계에서 내집 마련의 어려움이 젊은 세대의 삶의 결정을 늦추는 주요 원인으로 드러나고 있습니다

    정부정책으로 단순 물량이 아닌, 직주근접 지역에 양질의 주택을 공급해야 합니다

    청년과 신혼부부가 선호하는 지역 위주로 정책이 설계되어야 효과가 있습니다

    임차보증금 대출 금리 인하 또는 대출한도 확대하고 일정 소득 이하 청년가구에는 직접적인 주거비 보조금이 필요할수도 있습니다

    주택 시장 안정화 정책의 일관성 유지가 중요하며 자주 바뀌는 부동산 정책은 불확실성을 키우고, 젊은 세대의 주거·결혼 결정을 어렵게 하는 그런부분을 해소해야 될거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우선 가장 중요한 것은 일자리 입니다. 일자리가 많아야 소득이 생기고 저축을 하고 기반을 다질 수 있는데 일자리가 부족하다보니 소득이 없어서 결혼은 꿈도 꾸지 못하는 것으로 보여 지고 일자리가 많이 생겨서 소득이 생기면 청약저축등을 활용을 해서 저축을 하고 그리고 정부지원 청년 주택등에서 거주를 하다가 어느 정도 돈을 모아서 대출을 활용을 해서 주택을 매수를 하고 결혼을 하면 되는데 사실 부동산 가격이 너무 높게 형성이 되다 보니 정부에서는 이러한 부동산 가격 안정화에 힘을 써야 될것으로 보이고 많은 공급정책을 통해서 부동산 안정화 대책을 세워야 될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