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밤하늘의오로라
밤하늘의오로라

식물의 1차세포벽과 2차 세포벽은 구조적으로 어떤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식물은 세포막 바깥쪽에 두겹으로 구성된 세포벽을 가지고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이때 식물의 1차 세포벽과 2차 세포벽은 구조적으로 어떤 차이가 있으며 기능적 차이는 어떤 것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1차 세포벽은 얇고 유연하여 세포의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반면, 2차 세포벽은 세포 성장이 멈춘 후 1차 세포벽 안쪽에 형성되며 두껍고 단단한 구조를 가집니다. 구조적으로 1차 세포벽은 셀룰로오스 섬유가 무질서하게 배열되어 있고 펙틴 함량이 높아 신축성이 있지만, 2차 세포벽은 셀룰로오스 섬유가 여러 층으로 촘촘하고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리그닌이 침착되어 견고합니다. 이러한 구조적 차이로 인해 1차 세포벽은 세포의 팽창을 지원하는 기능을 주로 수행하고, 2차 세포벽은 식물체에 대한 강력한 기계적 지지 및 수분 수송의 역할을 담당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1차 세포벽은 세포 분열, 시장기에 형성돼 셀룰로스가 적고 펙틴, 헤미셀룰로스가 많아 유연 가소성이 크답니다.

    2차 세포벽은 세포 성장 후 안쪽에 추가로 형성돼 셀룰로스, 리그닌이 풍부해 두껍고 단단하며 기계적 강도, 수분 차단 기능이 강하답니다.

  • 먼저 세포가 처음 분열하고 생장할 때 형성되는 것이 1차 세포벽이며, 세포의 생장이 멈춘 후 특정 세포에만 형성되는 것이 2차 세포벽입니다.

    구조적으로 본다면 1차 세포벽은 모든 식물 세포에 존재하며, 유연하고 신축성이 있는 얇은 층입니다. 주성분은 셀룰로스 미세섬유와 펙틴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셀룰로스 미세섬유들이 불규칙하게 배열되어 있어 세포의 생장과 신장이 가능합니다.

    반면 2차 세포벽은 주로 목질화된 조직의 세포에서 1차 세포벽 안쪽에 형성됩니다. 1차 세포벽보다 훨씬 두껍고 단단하며, 리그닌이라는 물질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습니다. 리그닌은 세포벽을 경화시켜 강성을 높이고 방수 기능을 가지게 하며, 셀룰로스 미세섬유는 규칙적인 층을 이루어 배열되어 있어 강한 지지력을 가집니다.

    기능적으로는 1차 세포벽은 주로 세포의 생장과 형태 유지를 담당합니다. 유연성이 있어 세포가 팽창하면서 크기를 키울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세포 간 물질 교환이 이루어지는 통로인 원형질연락사가 존재하여 세포 간 소통을 가능하게 합니다.

    반면 2차 세포벽은 주로 식물체에 기계적 강성과 지지력을 가지게 합니다. 리그닌의 함량 덕분에 물관 세포처럼 단단하고 뻣뻣한 구조를 형성하여 물의 수송을 돕고, 외부 압력에 견딜 수 있게 하는 것이죠. 그 덕분에 식물은 나무와 같은 거대한 크기로 자랄 수 있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네, 말씀해주신 것과 같이 식물 세포벽은 생명체의 구조적 지지와 보호, 그리고 물질 이동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크게 1차 세포벽과 2차 세포벽으로 나누어집니다.

    우선 1차 세포벽이란 세포가 아직 활발히 분열하고 팽창하는 동안 먼저 형성되며, 세포막 바깥쪽에 자리하고 있는 세포벽을 말하는데요, 비교적 유연하고 늘어날 수 있어 세포의 성장에 맞추어 함께 확장됩니다. 다음으로 2차 세포벽이란 세포의 성장이 끝난 뒤, 1차 세포벽 안쪽에 추가적으로 형성되는 세포벽으로 더 단단하고 두껍게 축적되기 때문에 세포가 더 이상 팽창하지 못하게 합니다.

    1차 세포벽은 주로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펙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물처럼 헐겁고 유연하게 배열되어 있는데요 펙틴은 세포벽을 부드럽고 수화 상태로 유지시켜 세포가 성장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다음으로 2차 세포벽 역시 셀룰로오스와 헤미셀룰로오스로 구성되어 있으나 훨씬 더 조밀하게 배열되며, 여기에 리그닌이 포함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리그닌은 소수성을 띠고 세포벽을 매우 강하고 단단하게 만들어 물과 미생물에 대한 저항성을 높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