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후덕한군함조126
후덕한군함조126
24.03.12

아파트 분양가상한제 비규제 지역 당첨후?

전입후 실거주 의무기간은 몇년인가요?

거주 의무기간 채운후 매도시 1주택자 양도세 비과세 인가요?

일시적 2주택은 몇년까지 유예해주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이강애 공인중개사blue-check
    이강애 공인중개사
    24.03.12

    안녕하세요. 이강애 공인중개사입니다.

    분양가상한제제 적용 아파트 거주의무기간은 최초 입주가능일부터 2년, 전매제한 1년 ~3년, 재당첨제한 5년 ~10년입니다. 실거주의무를 3년간 유예는 가능 합니다.

    거주의무기간을 충족해도 전매제한 기간을 충족하지 못하면 매도가 불가 할 수도 있습니다.

    일시적 2주택자는 기존주택 비과세요건을 충족하고 신규주택을 취득한 날로부터 3년이내에 기존주택을 처분하면 양도소득세 비과세대상 입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입 후의 실거주 의무기간, 양도세 비과세에 관한 내용은 국가나 지역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국가의 주택정책 및 관련 법률에 따라 결정됩니다. 아래는 한국의 경우의 일반적인 내용에 대한 설명입니다.

    1. 실거주 의무기간: 한국에서는 주택을 취득한 후 실거주 의무기간이 정해져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실거주 의무기간은 취득일로부터 2년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이 기간 동안에는 해당 주택을 실제로 거주해야 합니다.

    2. 양도세 비과세: 한국에서는 1주택자에게 주택을 처음 취득하는 경우 양도세 비과세 혜택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해당 주택을 취득한 후 5년 이내에 실거주 의무기간을 충족해야 합니다. 만약 이 기간 내에 주택을 처분할 경우에는 양도세가 면제될 수 있습니다.

    3. 일시적 2주택 유예: 한국에서는 특정한 사유로 인해 일시적으로 2주택을 보유하는 경우에 대해 일정 기간 동안 양도세 유예 혜택을 제공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일시적 2주택 보유 기간이 명시되어 있으며, 해당 기간 내에 양도시 양도세를 면제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도 관련 법률과 정부 정책의 변화에 따라 세부적인 내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실거주 의무기간, 양도세 비과세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해당 국가나 지역의 법률 및 정책에 따라 달라집니다. 부동산 거래 전에는 관련 법률을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전문가의 조언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