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일본 자동차 관세 역전 한국차 수출에 영향을 많이 받을까요?
최근 미국이 일본산 자동차 관세를 15% 낮췄고, 한국산에는 여전히 25%관세를 부과하고 있는걸로 알고있습니다. 현재 이현상이 한국 완성차 업체의 수출경쟁력에 많은 부정영향을 줄까요? 걱정되서 문의드려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대미 한국 자동차 수출에 영향을 받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분명 이런 관세가 없던 시절보다는 수출 경쟁력에 빨간 불이 켜진 것은 맞습니다.
하지만, 이미 다수의 차량이 한국에서 만들어져서 수출되는 것이 아니라
미국 현지에서 생산이 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이 일본 자동처 관세를 낮춘것은 한국 완성차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지 생산과 전기차 보조금 조건이 더 큰 변수입니다. 기술 경쟁력과 브랜드 가치로 대응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이 부분은 국내 자동차 시장에는 악재입니다
상대적으로 가격 메리트가 떨어지게 되니 자연스럽게 경쟁에서 밀려나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를 막기 위해서라도 우리나라의 외교력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물론 일본은 미국에 더 많은 것을 받치면서 얻어낸 결과이기 때문에 손익을 따졌을 때
꼭 이득이라고 보긴 어렵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관세 정책은 한국의 완성차 수출 경쟁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한미 간 관세 협상의 조속한 해결과 함께 가급적 유리한 조건의 협상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일본에서 경쟁중인 세단 즉 아반떼와 소나타의 가격이 도요타의 범용모델보다 훨씬 비싸진 상황으로 역전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하반기부터 미국내에서 한국의 자동차판매량 감소추세가 본격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사실상 한국와 일본의 미국 수출량 절대대수도 150만대수준으로 직접적인 경쟁모델이라는 점입니다.
거기다가 여전히 일본산 브랜드에 대한 신뢰도와 브랜드가치가 여전히 한국브랜드보다 좀더 높다는 점이 이미 미국내 소비자에서의 통계에서도 여전히 우위가 있기 때문에 이렇게 서로간의 경쟁모델에서 가격 우위가 일본이 앞서게 되면서 오히려 하반기부터 발생하고 있는 판매량이 더 감소될것으로 보이며 특히 하이브리드시장에서 한국도 미국내에서 빠르게 치고 올라오고 있는데 하이브리드부분에서도 일본브랜드가 더 앞서기 때문에 이런 판매량역풍이 앞으로 3~4분기 그리고 내년도에도 쭉 이어질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이 일본산 자동차 관세를 15%로 인하하고 한국산 자동차에는 여전히 25%의 관세를 유지하는 현상은 한국 완성차 업체의 수출 경쟁력에 매우 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미국의 자동차 시장에서 한국 자동차는 일본, 유럽 등과 경쟁하고 있는데, 일본 자동차의 관세 부담이 10%포인트 줄어들면서 한국차는 가격 경쟁력에서 밀릴 수밖에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