냄새도 없고 맛도 느껴지지 않으며 물에 타면 투명해져서 먹으면 3분 이내 곧장 기절하는 수면제는
냄새도 없고 맛도 느껴지지 않으며 물에 타면 투명해져서 먹으면 3분 이내 곧장 기절하는 수면제는 정신과에 가서 처방받는 건가요?
아, 혹시 대리처방도 가능한가요?
제가 아는 지인의 동생이 굴착기에 깔려서 죽는 사고로 아버지를 잃었는데 시체를 보고 나서 트라우마로 불면증이 왔답니다.
웬만한 불면증 약으로는 쉽게 잠에 들지 못하고 새벽에 계속 깬답니다.
가위눌림부터 심각한 수면장애까지 겪고 있습니다. 기면증도 겪고 있고요. 일단 차선책으로 강력 수면제를 한번 복용해보고 그래도 효과가 없으면 신경과를 한 번 찾아가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제세령 정신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지인의 동생이 심적 스트레스를 겪고 있어 이에 대해 염려가 되시는 것 같습니다. 수면제는 남용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처방에 신중하여야 하며 대리처방은 불법입니다. 말씀하신 지인분의 상태를 자세히 알기는 힘드나 말씀하신 일을 겪으셨다면 이는 상당한 정신적 고통을 느끼실 수 있을 듯 합니다. 이런 경우 수면제를 복용하는 것만이 해결책은 아닐 수 있습니다. 내면의 상태에 대해 파악하고 적절한 조치를 받기 위해서는 정신건강의학과에 내원하여 관련 평가를 진행해보시는 것이 더 도움이 됩니다. 지인분께서 적절한 도움을 받고 얼른 호전되시길 바랍니다.
1명 평가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문의하신 내용과 같은 특정 수면제는 존재하지 않으며, 불면증이나 수면 장애의 경우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정확한 진단을 받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신과에서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치료 방법 (약물 치료, 인지 행동 치료 등)을 고려하며, 어떠한 약물도 반드시 의사의 처방 및 지시 하에 복용해야 합니다.
대리 처방은 원칙적으로 불가능하나, 예외적인 상황 (환자가 거동이 불편한 경우 등) 에서는 관련 서류를 갖추어 의사의 판단 하에 가능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지인 동생분의 상황은 예외에 해당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직접 내원하여 진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또한, 강력한 수면제를 임의로 복용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며, 반드시 전문가와 상담 후 결정해야 합니다. 기면증 증상도 함께 겪고 있다면, 신경과 방문도 고려해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