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행복한북극곰
행복한북극곰24.01.01

수입할때 관세를 부과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물품을 해외에서 수입할때는 항상 관세가 부과되는걸로 알고 있는데

이러한 관세는 어째서 부과하는것인지 궁금합니다.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경훈 관세사입니다.

    관세는 주로 무역 보호주의 정책의 일환으로 도입되며, 다음과 같은 이유로 부과됩니다.

    1. 국가 경제 보호
      관세는 국내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도입됩니다. 수입품에 부과되는 관세는 해당 산업이 경쟁하는 수입품보다 비싸게 만들어지기 때문에, 국내 산업이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2. 정부 수입 증대
      관세는 국가의 수입원 중 하나로 활용됩니다. 관세는 수입품의 가격에 부과되기 때문에, 높은 관세율일수록 국가의 수입이 늘어납니다.

    3. 국제 무역 균형 유지
      관세는 국제 무역에서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도입됩니다.어떤 국가가 다른 국가보다 특정 산업에서 경쟁력을 갖고 있을 경우, 그 국가는 해당 산업의 제품을 수출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다른 국가에서는 수입품에 높은 관세를 부과하여 국내 산업을 보호하고 국제 무역에서 균형을 유지합니다.

    4. 국가 안보 유지
      국가 안보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군수품 등 특정 제품에 대해 높은 관세를 부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관세는 국가 안보와 관련된 산업을 보호하고, 국내 군수 산업의 발전을 도모합니다.

    따라서 관세는 국내 산업의 보호와 국가의 수입 증대, 국제 무역 균형 유지, 국가 안보 유지 등 다양한 목적으로 도입되며, 무역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관세법상 '수입물품에는 관세를 부과한다'라고 규정하고 있어 모든 수입물품에는 관세가 부과됩니다. 관세 부과는 국가의 재정수입 목적으로 관세를 부과하며 무역장벽의 일종으로서 관세장벽을 통해 국내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관세를 부과합니다.

    관세는 물품마다 (HS CODE 마다) 정해여진 관세율에 따라 부과되며 통상적으로 8% 관세율로 구성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는 관세법 제14조에 "수입물품에는 관세를 부과한다"고 규정하고 있어 외국에서 물품이 우리나라로 수입되는 경우 관세가 부과됩니다.


    수입관세를 부과하는 목적은 수입물품의 가격을 관세만큼 높여 자국산업을 보호하는 것이기 때문에 관세는 수출자 입장에서 무역장벽, 관세장벽이라 표현되기도 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수입물품의 가격(물품가격 + 운송비 + 보험료 등, 종가세)에 관세율(HS CODE에 따라 상이함)을 곱하여 계산되고, 일부 수입물품은 중량에 따라 부과(종량세)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관세는 국세로서 간접세, 소비세, 보통세 대물세입니다.

    관세는 관세선을 통과하는 물품에 대하여 부과합니다.

    관세를 부과하는 목적은 수입국의 산업을 보호하거나 수입국의 재정수입 확보를 위해 부과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

    관세(Customs Duty, Tariff)란 일국의 관세영역을 통과하는 물품에 대해여 국가가 재정수입, 국내산업 보호 등을 목적으로 반대급부 없이 법률이나 조약에 따라 부과 징수하는 조세를 말합니다.

    또한, 국가마다 그리고 품목마다 관세율이 다른 이유는 해당 국가의 산업정책 및 국내산업 보호 등의 목적으로 일률적으로 같게 할 수 없이 다르게 정하여 부과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하면 수입품의 가격이 상승하여 국산품과의 경쟁력이 약화됩니다. 이는 국내 산업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관세는 국가의 재정 수입원으로 활용됩니다. 수입이 증가하면 관세 수입도 증가하여 정부의 재정 수입을 늘릴 수 있으며, 관세는 사회의 다양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관세란 수입물품이 국가에 반입되는 경우 납부하는 세금으로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국산품과 외산품에 차이를 두어 국산품에게 보다 공정하거나 유리한 경쟁을 하게 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이러한 사유만으로 관세를 부과하는 것에 대하여 모든 것을 설명할수는 없으나 대부분의 부과사유에 대하여는 설명됩니다. 따라서 수입이 많이 필요로하거나 이러한 부분에 대하여 경쟁이 상대적으로 덜한 선진일수록 관세율이 낮은 경향을 보입니다.

    추가적으로 관세는 부과도 되지만 환급도 됩니다. 이러한 관세는 해당 국가에서 소비를 전제로 하여 부과하는 것이기에 해외로 다시 수출되는 경우에는 환급하여주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여행자들이 국외로 나갈때 받는 Tax-refund도 부가세 및 관세의 환급으로 볼 수 있으며 우리나라도 환급특례법 등을 운영함으로서 해외수출되는 물품 그리고 해외원재료가 제조, 판매되는 수출되는 경우에도 기 납부한 관세를 환급하여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환급액이 상당히 크기에 일부 기업에서는 이를 주요 업무로 두어 중점적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는 모든 물품에 관세를 부과하고 있지는 않지만 많은 공산품들에 대하여 8%정도의 기본관세를 매기고 있습니다.

    관세는 세수확보의 목적이 크겠지만, 일단 국내산업의 보호의 목적도 크다고 보시면 됩니다.

    관세는 수출,수입, 통관물품에 대하여 부과할 수 있겠지만, 대부분 수입관세만을 부과하며 우리나라 또한 관세법을 통해 수입물품에 대해서만 관세를 부과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