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활발한메추라기알192
활발한메추라기알19223.03.29

우리나라의 성리학은 언제 들어왔나요?

우리나라의 역사 중에서 조선은 성리학으로 이루어진 나라로 대표적인 학문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성리학으로 처음에는 나라가 발전한 것도 있지만, 망하게 한 것도 있겠지요? 그렇다면 우리나라에 성리학은 언제 들어왔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29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한국에 성리학이 들어온 것은 고려 말기, 충렬왕을 호종하여 원(元)나라에 갔던 안향(安珦)이 《주자전서(朱子全書)》를 가져와 연구하기 시작한 데서 비롯되었습니다. 그 후 성균관의 유학자들에게 수용되어 합리적이고 윤리적인 사상으로서 새로운 학풍을 이루게 되었으며, 그 대표적 인물로서 이색(李穡)·정몽주(鄭夢周) ·길재(吉再) ·정도전(鄭道傳)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이색·정몽주·길재 등은 불교의 폐단을 지적하고 유교를 숭상할 것을 주장하는 데 그쳤고, 또 신왕조에 협력하지도 않았으나 정도전·하륜(河崙)·권근(權近) 등의 성리학자는 불교의 폐단뿐만 아니라 교리(敎理) 자체를 논리적으로 변척(辨斥)하는 동시에 이태조를 도와 법전(法典)의 제정과 기본정책의 결정을 통하여 유교를 국시(國是)로 삼는 조선조가 성립하는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한국의 성리학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주자학으로서의 성리학의 도입은 충렬왕 때(13세기 후반)로 추정된다.

    안향(安珦, 安裕)은 주희의 호 회암(晦庵)에서 '회(晦)'자를 따 자신의 호를 회헌(晦軒)이라

    하여 주희에 대한 존경심을 나타내었다.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성리학은 고려 말기 원나라를 통해서 우리나라에 도입되었습니다.

    고려 중기부터 이미 유교를 심성 수양의 도리로까지 확대하려는 움직임이 있었고,

    무신정변 이후 유학자들 역시 심성 수양의 문제에 깊은 관심을 보이며 이 시기의 정치적·사회적 변동에 대응하여

    새로운 방향에서 주체를 확립하려는 노력에 부응하는 것으로서 관심을 끌게 되었으며,

    새로운 개혁이념으로, 국가 교학으로 받아들여졌습니다.

    성리학의 도입으로 신진사대부가 생기게 되었고 역성혁명을 꿈꾸게 되었습니다.


  • 성리학(性理學): 유교를근간으로한 최고의 인문학을 말합니다

    12세기에 남송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한 유교의 주류 학파입니다


    학문의 목적은 자연 도덕주의, 도덕 형이상학 경학(유학)을 다시 승화시켜 더욱 철학적 견지에서 다르는 학문입니다.


  • 성리학은 중국 송나라 시대의 유학의 한 계통으로,

    성명과 이기의 관계를 논한 유교철학이다.

    성리학이 우리나라에 전래되기 시작한 때는 송나라에서 성리학이 발흥할 무렵인 고려인종기 전후(11~12세기)로 보여진다. 당시 고려에서는 송의 서적을 수집해 들여 왔고,중국에 유학가는 고려의 학생들도 많았다.

    성리학이 본격적으로 발달한 것은 조선시대에 들어와서였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성리학은 고려시대에 중국의 성리학이 수용되면서 들어왔습니다. 성리학은 노자와 함께 중국의 전통적인 유교사상 중 하나로, 사회 질서와 도덕적인 행동 원칙을 제시하는 이데올로기입니다. 고려시대에는 중국의 성리학이 수용되면서, 고려의 도덕과 사상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습니다.


    특히 고려 후기에는 이성계의 세종대왕비판과 고종 때의 신진사대부의 발전으로 인해 성리학이 더욱 확산되었습니다. 이러한 성리학의 확산은 조선시대에도 이어졌으며, 조선시대에는 성리학이 정치, 교육, 예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성리학은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윤리 체계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성리학은 고려 후기에 도입된 원대의 성리학이 자체적으로 발전한 것으로 13세기 후반 고려 정부가 몽고에 대한 오랜 항쟁을 끝내고 개경으로 돌아가 원나라에 복속하면서 두 나라의 관계가 밀접해지고 사람들의 왕래와 교섭이 많아지면서 부터 시작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성리학이 우리 나라에 전래되기 시작한 때를 정확하게 말하기는 어렵지만 대체로 송 (北宋)에서 성리학이 발흥할 무렵인 고려 인종기 전후 (11∼12세기)로 생각된다고 합니다. 당시 고려에서는 송의 서적을 적극 수집해 들여 왔고고려 시대가 아닌 조선 시대에 와서 결국 꽃을 피우게 되지요.